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2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2. 7.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2 1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202521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기(-0.05%) 대비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수도권(-0.03%-0.02%) 하락폭 축소,

서울(0.00%0.02%)상승 전환,

지방(-0.07%-0.06%)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8%-0.08%), 세종(-0.09%-0.07%), 8개도(-0.05%-0.04%))

 

 

시도별로는

울산(0.03%), 전북(0.02%), 충북(0.01%) 등은 상승,

대구(-0.21%), 경북(-0.11%), 인천(-0.08%), 대전(-0.07%), 제주(-0.06%),

부산(-0.06%), 경남(-0.05%), 광주(-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전기 대비 상승 지역(3749)

보합 지역(810)은 증가, 하락 지역(133119)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2%]

서울 0.02% 상승, 인천 0.08% 하락, 경기 0.03% 하락

 

 

[서울 : 0.00% 0.02%]

대출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 위축되고 관망세 지속되고 있으나,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에서는 거래가능가격 상승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 전환

 

(강북 14개구 : 0.01%)

노원구(-0.03%)는 상계·중계동 구축 위주로,

은평구(-0.01%) 증산·구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05%)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마포구(0.05%)는 도화·염리동 선호단지 위주로,

광진구(0.04%)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3%)

강동구(-0.03%)는 둔촌·성내동 위주로,

동작구(-0.01%)흑석·상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3%) 잠실·신천동 선호단지 위주로,

서초구(0.06%)는 서초·잠원동 재건축 예정단지 위주로,

양천구(0.04%)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6% -0.08%]

연수구(-0.13%)는 구도심 지역인 연수·옥련동 위주로,

남동구(-0.12%)는 논현·만수동 위주로,

계양구(-0.10%)는 미분양 물량 영향있는 작전·효성동 위주로,

미추홀구(-0.06%)는 입주물량 증가 지역인 학익동 위주로,

서구(-0.05%)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4% -0.03%]

화성시(0.08%)는 교통조건이 우수한 청계동 위주로,

과천시(0.06%)는 재건축사업 진행중인 부림·별양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광명시(-0.27%)는 입주물량 예정된 철산·하안동 위주로,

평택시(-0.24%)는 공급물량 증가 영향으로 비전·세교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8%)는 금광·상대원동 위주로 하락

 

 

[지방 : -0.06%]

5대광역시 0.08% 하락, 세종 0.07% 하락, 8개도 0.04% 하락

 

 

[5대광역시 : -0.08% -0.08%]

 

(대구 : -0.16% -0.21%)

북구(-0.36%)는 침산동·칠성동2구축 위주로,

서구(-0.25%)는 중리·내당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달서구(-0.24%)는 이곡·장기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대전 : -0.08% -0.07%)

중구(-0.17%)는 문화·유천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서구(-0.06%)는 월평·내동 대단지 위주로,

유성구(-0.05%)는 송강·전민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9% -0.07%]

지역별 혼조세 보이나, 고운도담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 축소

 

 

[8개도 : -0.05% -0.04%]

 

(경북 : -0.06% -0.11%)

구미시(-0.28%)는 구평동·고아읍 구축 위주로,

포항 북구(-0.15%)는 양덕동·흥해읍 위주로 하락

 

(전기 대비 %)

구 분 1.20(전기) 2.3(당기) 비 고
1 전북 -0.03 0.02 하락에서 상승 전환
2 충북 -0.07 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
3 전남 -0.04 -0.01 하락폭 축소
4 강원 -0.06 -0.02 하락폭 축소
5 충남 -0.06 -0.03 하락폭 축소
6 경남 -0.04 -0.05 하락폭 확대
7 제주 -0.03 -0.06 하락폭 확대
8 경북 -0.06 -0.11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기(-0.01%) 대비 보합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1%0.00%)보합 전환,

서울(0.00%0.01%)상승 전환,

지방(-0.01%0.00%)보합 전환됐습니다.

(5대광역시(0.00%-0.01%), 세종(-0.02%-0.08%), 8개도(-0.02%0.00%))

 

 

시도별로는

울산(0.08%), 광주(0.03%), 충북(0.03%), 부산(0.02%) 등은 상승,

경기(0.00%) 등은 보합,

대구(-0.08%), 대전(-0.06%), 제주(-0.03%), 강원(-0.03%), 충남(-0.02%)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전기 대비 상승 지역(7378)

보합 지역(1013)은 증가, 하락 지역(9587)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0%]

서울 0.01% 상승, 인천 0.02%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00% 0.01%]

 일부 입주물량 영향있는 단지 및 외곽지역에서 전세가격 하락하고 있으나,

학군지 및 신축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되며

서울 전체 보합에서 상승 전환

 

 (강북 14개구 : -0.01%)

도봉구(0.03%)는 창·방학동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02%)는 중계·공릉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동구(-0.08%)는 행당·응봉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북구(-0.03%)는 길음·정릉동 신축 위주로,

중랑구(-0.03%)는 묵·신내동 위주로 하락

 

(강남 11개구 : 0.02%)

구로구(-0.05%)는 개봉·신도림동 위주로,

강동구(-0.02%)는 둔촌·암사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07%) 잠실·가락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05%)는 신월·신정동 위주로,

영등포구(0.04%)는 신길·여의도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5% -0.02%]

연수구(0.02%)는 동춘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으나,

 

중구(-0.12%)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운서·중산동 위주로,

동구(-0.07%)는 화수동 위주로,

서구(-0.03%)는 당하·청라동 위주로,

남동구(-0.03%)서창·구월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0.00%]

광명시(-0.69%) 입주물량 영향있는 하안·철산동 위주로,

의왕시(-0.15%)는 오전·내손동 위주로,

평택시(-0.14%)는 용이·죽백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인 수지구(0.17%)는 성복·풍덕천동 위주로,

수원 권선구(0.13%)는 권선동 위주로,

오산시(0.13%)는 지곶·부산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 유지

 

 

[지방 : 0.00%]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08% 하락, 8개도 0.00% 보합

 

 

[5대광역시 : 0.00% -0.01%]

 

(대구 : -0.07% -0.08%)

북구(-0.25%)는 구암·서변동 구축 위주로,

중구(-0.13%)는 남산·대신동 대단지 위주로,

수성구(-0.10%)는 범어·범물동 위주로 하락

 

(대전 : -0.06% -0.06%)

중구(-0.14%)태평중촌동 위주로,

동구(-0.08%)는 용운홍도동 소형 규모 위주로,

유성구(-0.06%)는 전민봉명상대동 구축 및 대단지 위주로 하락

 

 

[세종 : -0.02% -0.08%]

조치원읍 대형 규모 및 고운아름동 준신축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0.00%]

 

(충북 : 0.01% 0.03%)

청주 서원구(0.09%)는 정주여건 양호한 개신사직동 위주로,

음성군(0.05%)은 음성금왕읍 위주로 상승

 

(전기 대비 %)

구 분 1.20(전기) 2.3(당기) 비 고
1 충북 0.01 0.03 상승폭 확대
2 전남 0.00 0.01 보합에서 상승 전환
3 경북 0.00 0.01 보합에서 상승 전환
4 경남 0.00 0.01 보합에서 상승 전환
5 전북 -0.02 -0.01 하락폭 축소
6 충남 -0.05 -0.02 하락폭 축소
7 강원 -0.06 -0.03 하락폭 축소
8 제주 -0.05 -0.03 하락폭 축소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5
‘24 ‘25 12.23 12.30 1.6 1.13 1.20 2.3
전 국 -0.25 -0.16 -0.03 -0.03 -0.03 -0.04 -0.05 -0.04
수도권 -0.28 -0.10 -0.02 -0.02 -0.02 -0.03 -0.03 -0.02
지 방 -0.21 -0.22 -0.04 -0.04 -0.05 -0.05 -0.07 -0.06
서 울 -0.19 0.02 0.01 0.00 0.00 0.00 0.00 0.02
경 기 -0.36 -0.12 -0.02 -0.02 -0.01 -0.04 -0.04 -0.03
인 천 -0.19 -0.27 -0.10 -0.09 -0.07 -0.06 -0.06 -0.08
부 산 -0.34 -0.25 -0.05 -0.04 -0.07 -0.05 -0.07 -0.06
대 구 -0.44 -0.65 -0.11 -0.13 -0.13 -0.15 -0.16 -0.21
광 주 -0.13 -0.16 -0.03 -0.04 -0.05 -0.03 -0.05 -0.03
대 전 -0.01 -0.18 -0.01 0.00 -0.01 -0.02 -0.08 -0.07
울 산 -0.07 0.02 0.00 0.00 0.00 -0.01 0.00 0.03
세 종 -0.84 -0.31 -0.04 -0.07 -0.08 -0.06 -0.09 -0.07
강 원 0.05 -0.15 -0.01 -0.01 0.00 -0.07 -0.06 -0.02
충 북 -0.07 -0.09 -0.03 -0.02 -0.03 0.00 -0.07 0.01
충 남 -0.20 -0.16 -0.02 -0.01 -0.03 -0.05 -0.06 -0.03
전 북 -0.12 -0.11 -0.08 -0.06 -0.05 -0.05 -0.03 0.02
전 남 -0.16 -0.15 -0.06 -0.05 -0.06 -0.04 -0.04 -0.01
경 북 -0.14 -0.20 -0.02 -0.03 -0.01 -0.03 -0.06 -0.11
경 남 -0.22 -0.19 -0.06 -0.05 -0.05 -0.05 -0.04 -0.05
제 주 -0.22 -0.19 -0.06 -0.04 -0.05 -0.04 -0.03 -0.06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5
‘24 ‘25 12.23 12.30 1.6 1.13 1.20 2.3
전 국 0.10 -0.03 0.00 0.00 0.00 -0.01 -0.01 0.00
수도권 0.26 -0.02 -0.01 0.00 0.00 -0.01 -0.01 0.00
지 방 -0.06 -0.03 0.00 -0.01 0.00 -0.01 -0.01 0.00
서 울 0.36 0.00 0.00 0.00 -0.01 0.00 0.00 0.01
경 기 0.24 -0.01 0.00 0.00 0.01 -0.01 0.00 0.00
인 천 0.13 -0.14 -0.06 -0.04 -0.04 -0.03 -0.05 -0.02
부 산 -0.22 0.10 0.02 0.03 0.02 0.02 0.03 0.02
대 구 -0.32 -0.34 -0.07 -0.10 -0.09 -0.11 -0.07 -0.08
광 주 -0.06 0.12 0.02 0.02 0.03 0.02 0.03 0.03
대 전 0.48 -0.16 -0.02 -0.01 -0.01 -0.02 -0.06 -0.06
울 산 0.12 0.20 0.04 0.04 0.04 0.04 0.04 0.08
세 종 -0.66 -0.14 0.04 0.00 -0.04 0.00 -0.02 -0.08
강 원 0.07 -0.12 0.00 0.02 0.05 -0.08 -0.06 -0.03
충 북 0.22 0.09 0.00 0.03 0.03 0.02 0.01 0.03
충 남 -0.12 -0.10 0.01 -0.01 -0.03 0.00 -0.05 -0.02
전 북 0.25 -0.08 -0.01 -0.04 0.01 -0.06 -0.02 -0.01
전 남 -0.06 -0.01 -0.03 -0.02 -0.02 -0.01 0.00 0.01
경 북 -0.24 -0.05 -0.02 -0.05 -0.03 -0.02 0.00 0.01
경 남 -0.08 0.03 0.01 0.02 0.01 0.01 0.00 0.01
제 주 -0.13 -0.13 -0.03 -0.02 -0.04 -0.02 -0.05 -0.03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2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2025년에도 아파트 매매 가격은 서울 특정지역제외하고

 

 

다소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지 않고는 있는데

 

 

지방 미분양이 갈수록 늘어나지만,

 

 

주택 가격은 안정되지 않는 점에서 많은 아쉬움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