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국내 인구 이동통계 결과(전국)
에 대한 내용인데요.
지역별 인구 이동량 및 이동 방향 등을 파악
(전국) 이동자 수 628만 3천 명, 전년대비 2.5%(15만 5천 명) 증가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2.3%, 전년대비 0.3%p 증가
시도내 이동률은 8.1%, 시도간 이동률은 4.3%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증가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21.0%)가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는 낮음
○ 전년대비 20대, 30대, 10세 미만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 70대 이상 이동률은 감소
(시도) 순유입률은 인천과 세종, 순유출률은 광주와 제주가 높음
인천(0.9%), 세종(0.7%) 등 5개 시도는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입
광주(-0.6%), 제주(-0.5%) 등 12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
인천은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
(권역) 수도권과 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과 호남권은 순유출
수도권은 4만 5천 명 순유입, 영남권은 4만 명 순유출
수도권은 20대의 순유입이 가장 많고, 40대 이상은 순유출인 반면,
중부권은 20대는 순유출, 다른연령대는 순유입
영남권은 50대는 순유입, 다른 연령대는 순유출,
호남권은 30대 이하는 순유출, 40대 이상은 순유입을 보임
(시군구)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9.2%), 경기 양주시(7.6%) 등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0개 시군구는 순유입, 148개 시군구는 순유출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 경기 양주시, 경기 오산시 등
순유출률이 높은 시군구는 서울 용산구, 경기 의왕시, 경북 칠곡군 등
(전입사유) 주된 전입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순
전년대비 주택·가족 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 직업사유로는 감소
인천·경기·충북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 충남은 직업, 세종은 가족
부산ㆍ대구 등 7개 시도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직업, 서울과 대전은 주택
이상으로 2024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수도권 중 서울 외 인천, 경기도 등에서 순유입이 많은 이유는
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이 많은데 집값, 물가 등이
비싸기 때문에 유입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방의 젊은층 순유출이 대부분 수도권으로 집중 되는 점이
안타까운 일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3.png)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2주차 주간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70) | 2025.02.14 |
---|---|
2025년 2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195) | 2025.02.07 |
전국 토지 상승률 및 거래량 통계(지역별) (172) | 2025.02.06 |
민간 아파트 사전청약 당첨 취소자, 지원 내용 정리(우선공급) (184) | 2025.02.04 |
도시형 생활주택(소형주택) 면적 제한 완화(층수 완화) (295)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