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4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지역별 순유입 및 순유출)

by Edward_S 2025. 2.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국내 인구 이동통계 결과(전국)

에 대한 내용인데요.

 

2024 시도별 순이동률 추이
출처 : 통계청

 

 

 

지역별 인구 이동량 및 이동 방향 등을 파악

 

(전국) 이동자 수 6283천 명, 전년대비 2.5%(155천 명) 증가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12.3%, 전년대비 0.3%p 증가

 

시도내 이동률은 8.1%, 시도간 이동률은 4.3%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증가

 

총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4
총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4

 

 

 

연령별 이동률은 20(23.9%)30(21.0%)가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는 낮음

 

전년대비 20, 30, 10세 미만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 70대 이상 이동률은 감소

 

연령별 이동률, 2023~2024
연령별 이동률, 2023~2024

 

 

 

(시도) 순유입률은 인천과 세종, 순유출률은 광주와 제주가 높음

인천(0.9%), 세종(0.7%) 5개 시도는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입

 

광주(-0.6%), 제주(-0.5%) 12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

 

인천은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

 

시도별 순이동률, 2024
시도별 순이동률, 2024

 

 

 

(권역) 수도권과 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과 호남권은 순유출

수도권은 45천 명 순유입, 영남권은 4만 명 순유출

 

수도권은 20대의 순유입이 가장 많고, 40대 이상은 순유출인 반면,

중부권은 20대는 순유출, 다른연령대는 순유입

 

영남권은 50대는 순유입, 다른 연령대는 순유출,

호남권은 30대 이하는 순유출, 40대 이상은 순유입을 보임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14~2024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14~2024

 

 

 

(시군구)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9.2%), 경기 양주시(7.6%)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0개 시군구는 순유입, 148개 시군구는 순유출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 경기 양주시, 경기 오산시 등

 

순유출률이 높은 시군구는 서울 용산구, 경기 의왕시, 경북 칠곡군 등

 

시군구별 순이동률 5순위, 2024
시군구별 순이동률 5순위, 2024

 

 

 

(전입사유) 주된 전입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전년대비 주택·가족 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 직업사유로는 감소

 

인천·경기·충북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 충남은 직업, 세종은 가족

 

부산ㆍ대구 등 7개 시도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직업, 서울과 대전은 주택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2023~2024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2023~2024

 

 

 


 

 

 

이상으로 2024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수도권 중 서울 외 인천, 경기도 등에서 순유입이 많은 이유는 

 

 

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이 많은데 집값, 물가 등이

 

 

비싸기 때문에 유입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방의 젊은층 순유출이 대부분 수도권으로 집중 되는 점이

 

 

안타까운 일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