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2.png)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4년 연간 전국 지가 2.15% 상승 및 토지거래량
에 대한 내용인데요.
’23년(0.82%) 대비 1.33%p 상승폭 확대
’24년 연간 토지거래량은 ’23년 대비 2.7% 증가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4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하였습니다.
1. 지가변동률
’24년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하였습니다.
상승폭은 ’23년(0.82%) 대비 1.33%p 확대,
’22년(2.73%) 대비 0.58%p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최근 5년(’19∼’23년) 연평균 변동률 3.06% 대비 0.91%p 상승폭 축소
’24년 4분기 지가변동률은 0.56%로, 3분기(0.59%) 대비 0.03%p 낮은 수준,
'23년 4분기(0.46%) 대비 0.10%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24년 지가변동률은 수도권(1.08% → 2.77%) 및 지방권(0.40% → 1.10%) 모두
’23년 연간 변동률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시·도)
서울(3.10%), 경기(2.55%) 2개 시도가 전국 평균(2.15%)을 상회하였습니다.
(시·군·구)
용인처인구 5.87%, 서울 강남구 5.23%, 성남수정구 4.92% 등
252개 시군구 중 54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또한, 252개 시군구 중 210개 시군구가 0.00% ~ 2.40%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주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구감소지역 동향)
’24년 연간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92%로
비대상지역 2.26% 대비 1.34%p 낮은 수준입니다.
* 행정안전부장관이 고시한 11개 시도,
89개 시군구(5년 단위 지정, ‘21.10월 최초 지정)
(최근 동향)
전국 지가는 ’23년 3월(0.008%) 상승전환 이후 22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나,
최근 ’24년 10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 (10월) 0.196% → (11월) 0.188% → (12월) 0.176%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상업지역 2.46%, 공업용 2.50% 등이 상승하였습니다.
(단위: %)
용도지역별 | 도시지역 | 관리지역 | 농림 지역 |
자연환경 보전지역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보전관리 | 생산관리 | 계획관리 | 관리통합 | |||||||||
2024년 | 2.28 | 2.46 | 2.27 | 1.97 | 1.03 | 1.12 | 1.70 | 1.55 | 1.20 | 0.63 | ||||||
2023년 | 0.72 | 0.91 | 1.04 | 1.23 | 0.35 | 0.52 | 0.90 | - | 0.52 | 0.30 | ||||||
이용상황별 | 전 | 답 | 주거용 | 상업용 | 임야 | 공업용 | 기타 | |||||||||
2024년 | 1.75 | 1.54 | 2.10 | 2.42 | 1.30 | 2.50 | 1.72 | |||||||||
2023년 | 1.03 | 0.87 | 0.64 | 0.86 | 0.66 | 1.28 | 0.60 |
2. 토지 거래량
’24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87.6만 필지(1,236.3㎢)로 나타났습니다.
’23년 대비 2.7% 증가(5.0만 필지), ’22년 대비 15.1% 감소(△33.3만 필지)하였습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66.1만 필지(1,125.9㎢)로,
’23년 대비 7.0% 감소(△5.0만 필지), ’22년 대비 32.2% 감소(△31.3만 필지)하였습니다.
(지역별)
’24년 전체토지 거래량은 ’23년 대비 울산 18.4%, 서울 12.3% 등
9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8개 시·도에서 감소하였습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 22.1%, 대전 11.0%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3개 시·도에서 감소하였습니다.
(용도지역/지목/건물용도별)
’24년 토지거래량은 ’23년 대비 공업(용도지역) 13.8%,
대(지목) 8.2%, 주거용(건물용도) 17.7% 등이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용도지역 | 도시지역 | 비도시지역 | 용도 미지정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개발제한 | 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
2024년 | 3.7 | 9.4 | 13.8 | 5.4 | 1.2 | △2.3 | △1.2 | △24.5 | 3.6 | ||||||||||||||||
2023년 | △5.4 | △29.7 | △21.2 | △30.8 | △24.6 | △27.2 | △18.5 | △17.5 | △31.5 | ||||||||||||||||
지목 | 전 | 답 | 대 | 임야 | 공장용지 | 기타 | |||||||||||||||||||
2024년 | △8.9 | △5.0 | 8.2 | △12.4 | △12.8 | 3.9 | |||||||||||||||||||
2023년 | △30.6 | △23.9 | △12.5 | △21.1 | △4.7 | △24.1 | |||||||||||||||||||
건물용도 | 주거용 | 상업업무용 | 공업용 | 기타건물 | 나지 | ||||||||||||||||||||
2024년 | 17.7 | △0.3 | △6.5 | 7.5 | △33.3 | ||||||||||||||||||||
2023년 | 1.4 | △37.4 | △36.0 | △30.4 | △29.2 |
이상으로 전국 토지 상승률 및 거래량 통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토지 가격은 주택 가격에 비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상승률을 보면 아파트 가격처럼 수도권 위주로 크게 상승하는 것을 보이고 있습니다.
역시 부동산은 수도권 위주로 크게 두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5.png)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3.png)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81) | 2025.02.07 |
---|---|
민간 아파트 사전청약 당첨 취소자, 지원 내용 정리(우선공급) (184) | 2025.02.04 |
도시형 생활주택(소형주택) 면적 제한 완화(층수 완화) (295) | 2025.01.31 |
2025년 1월 3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179) | 2025.01.24 |
2025년 면세사업자 수입금액 신고 기간 및 방법 (20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