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년 2월 2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2월 2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1%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4%) 하락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2%→-0.03%)은 하락폭 확대,
서울(0.02%→0.02%)은 상승폭 유지,
지방(-0.06%→-0.05%)은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8%→-0.06%), 세종(-0.07%→-0.12%), 8개도(-0.04%→-0.04%))
시도별로는
충북(0.02%) 등은 상승,
울산(0.00%)은 보합,
대구(-0.12%), 강원(-0.08%), 인천(-0.08%), 경북(-0.06%), 대전(-0.06%),
부산(-0.06%), 제주(-0.05%), 경기(-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9→42개) 및
보합 지역(10→6개)은 감소, 하락 지역(119→130개)은 증가
[수도권 : -0.03%]
서울 0.02% 상승, 인천 0.08% 하락, 경기 0.05% 하락
[서울 : 0.02% → 0.02%]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에서는 매도자 우위시장 보이며
상승세 유지되고 있으나, 그 외 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 지속되며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재되어 나타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1%)
용산구(0.05%)는 이촌·한강로동 위주로,
마포구(0.02%)는 아현·신공덕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도봉구(-0.06%)는 방학·쌍문동 구축 위주로,
강북구(-0.03%)는 미아·수유동 위주로,
서대문구(-0.02%)는 북가좌·홍제동 위주로 하락
(강남 11개구 : 0.05%)
금천구(-0.02%)는 시흥·독산동 위주로,
구로구(-0.02%)는 구로·오류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4%)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초구(0.11%)는 서초·잠원동 위주로,
강남구(0.08%)는 개포·대치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8% → -0.08%]
연수구(-0.12%)는 송도동 구축 위주로,
계양구(-0.11%)는 미분양 물량 적체 지역인 효성·계산동 위주로,
남동구(-0.09%)는 만수·구월동 구축 위주로,
미추홀구(-0.09%)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있는 학익·용현동 위주로,
서구(-0.06%)는 청라·당하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3% → -0.05%]
수원 장안구(0.08%)는 정주여건 우수한 정자·조원동 위주로,
여주시(0.08%)는 월송·오학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으나,
평택시(-0.25%)는 동삭·비전동 준신축 위주로,
광명시(-0.22%)는 하안·철산동 소형 규모 위주로,
성남 중원구(-0.17%)는 상대원·중앙동 위주로 하락
[지방 : -0.05%]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12% 하락, 8개도 0.04% 하락
[5대광역시 : -0.08% → -0.06%]
(대구 : -0.21% → -0.12%)
북구(-0.22%)는 태전·산격동 구축 위주로,
서구(-0.20%)는 내당동 위주로,
중구(-0.16%)는 남산동 구축 위주로 하락
(부산 : -0.06% → -0.06%)
해운대구(-0.16%)는 재송·반여동 구축 위주로,
사상구(-0.10%)는 주례·덕포동 위주로,
강서구(-0.09%)는 지사·명지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세종 : -0.07% → -0.12%]
고운동은 구축 위주로,
나성동은 공급 물량 영향으로 하락폭 확대
[8개도 : -0.04% → -0.04%]
(강원 : -0.02% → -0.08%)
속초시(-0.30%)는 조양·교동 대단지 위주로,
강릉시(-0.21%)는 입암·교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 확대
(전주 대비 %)
구 분 | 2.3(전기) | 2.10(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1 | 0.02 | 상승폭 확대 | ||
2 | 전북 | 0.02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3 | 충남 | -0.03 | -0.04 | 하락폭 확대 | ||
4 | 전남 | -0.01 | -0.04 | 하락폭 확대 | ||
5 | 경남 | -0.05 | -0.04 | 하락폭 축소 | ||
6 | 제주 | -0.06 | -0.05 | 하락폭 축소 | ||
7 | 경북 | -0.11 | -0.06 | 하락폭 축소 | ||
8 | 강원 | -0.02 | -0.08 | 하락폭 확대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0%) 대비 하락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0%→0.00%)은 보합 유지,
서울(0.01%→0.02%)은 상승폭 확대,
지방(0.00%→-0.01%)은 하락 전환됐습니다.
(5대광역시(-0.01%→-0.01%), 세종(-0.08%→-0.02%), 8개도(0.00%→-0.01%))
시도별로는
울산(0.04%), 부산(0.02%), 광주(0.02%), 강원(0.01%) 등은 상승,
경기(0.00%)는 보합,
대구(-0.09%), 인천(-0.07%), 제주(-0.05%), 대전(-0.05%), 전북(-0.02%)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78→78개),
보합 지역(13→13개) 및 하락 지역(87→87개) 모두 유지
[수도권 : 0.00%]
서울 0.02% 상승, 인천 0.07%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01% → 0.02%]
지역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새학기를 앞두고 학군지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증가하며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1%)
노원구(0.02%)는 중계·상계동 역세권 위주로,
광진구(0.01%)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동구(-0.07%)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옥수·행당동 위주로,
성북구(-0.05%)는 길음·돈암동 위주로,
동대문구(-0.04%)는 장안·전농동 위주로 하락
(강남 11개구 : 0.04%)
금천구(-0.01%)는 독산·가산동 위주로,
구로구(-0.01%)는 고척·오류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3%)는 신천·잠실동 학군지 위주로,
양천구(0.05%)는 신월·신정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05%)는 대림·여의도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2% → -0.07%]
연수구(0.01%)는 연수·선학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25%)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원당·당하동 위주로,
중구(-0.13%)는 중산·운남동 위주로,
계양구(-0.03%)는 계산·작전동 위주로,
부평구(-0.02%)는 삼산·청천동 구축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 0.00%]
광명시(-0.42%)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22%)는 상대원·은행동 구축 위주로,
고양 덕양구(-0.14%)는 성사·행신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구리시(0.12%)는 갈매·인창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11%)는 영통·매탄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10%)는 관양·비산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 유지
[지방 : -0.01%]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02%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1% → -0.01%]
(대구 : -0.08% → -0.09%)
북구(-0.21%)는 태전·관음동 구축 위주로,
중구(-0.15%)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있는 남산·대봉동 위주로,
수성구(-0.12%)는 만촌·범어동 위주로 하락
(대전 : -0.06% → -0.05%)
중구(-0.11%)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중촌·목동 위주로,
동구(-0.06%)는 가오·용전동 구축 위주로,
유성구(-0.04%)는 상대·지족·관평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8% → -0.02%]
고운·새롬·도담동 위주로 수요 감소하고 매물 적체되며 하락세 유지
[8개도 : 0.00% → -0.01%]
(제주 : -0.03% → -0.05%)
서귀포시(-0.05%)는 중문·서홍동 소형 규모 위주로,
제주시(-0.05%)는 이도이·일도이동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 2.3(전기) | 2.10(당기) | 비 고 | |||
1 | 강원 | -0.03 | 0.01 | 하락에서 상승 전환 | ||
2 | 충북 | 0.03 | 0.01 | 상승폭 축소 | ||
3 | 충남 | -0.02 | -0.01 | 하락폭 축소 | ||
4 | 전남 | 0.01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5 | 경북 | 0.01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6 | 경남 | 0.01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7 | 전북 | -0.01 | -0.02 | 하락폭 확대 | ||
8 | 제주 | -0.03 | -0.05 | 하락폭 확대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4년 | ’25년 | |||||
‘24년 | ‘25년 | 12.30 | 1.6 | 1.13 | 1.20 | 2.3 | 2.10 | |
전 국 | -0.31 | -0.20 | -0.03 | -0.03 | -0.04 | -0.05 | -0.04 | -0.04 |
수도권 | -0.35 | -0.13 | -0.02 | -0.02 | -0.03 | -0.03 | -0.02 | -0.03 |
지 방 | -0.27 | -0.27 | -0.04 | -0.05 | -0.05 | -0.07 | -0.06 | -0.05 |
서 울 | -0.24 | 0.05 | 0.00 | 0.00 | 0.00 | 0.00 | 0.02 | 0.02 |
경 기 | -0.43 | -0.17 | -0.02 | -0.01 | -0.04 | -0.04 | -0.03 | -0.05 |
인 천 | -0.24 | -0.34 | -0.09 | -0.07 | -0.06 | -0.06 | -0.08 | -0.08 |
부 산 | -0.45 | -0.31 | -0.04 | -0.07 | -0.05 | -0.07 | -0.06 | -0.06 |
대 구 | -0.60 | -0.77 | -0.13 | -0.13 | -0.15 | -0.16 | -0.21 | -0.12 |
광 주 | -0.17 | -0.19 | -0.04 | -0.05 | -0.03 | -0.05 | -0.03 | -0.03 |
대 전 | -0.03 | -0.25 | 0.00 | -0.01 | -0.02 | -0.08 | -0.07 | -0.06 |
울 산 | -0.08 | 0.02 | 0.00 | 0.00 | -0.01 | 0.00 | 0.03 | 0.00 |
세 종 | -1.16 | -0.43 | -0.07 | -0.08 | -0.06 | -0.09 | -0.07 | -0.12 |
강 원 | 0.07 | -0.23 | -0.01 | 0.00 | -0.07 | -0.06 | -0.02 | -0.08 |
충 북 | -0.08 | -0.07 | -0.02 | -0.03 | 0.00 | -0.07 | 0.01 | 0.02 |
충 남 | -0.27 | -0.20 | -0.01 | -0.03 | -0.05 | -0.06 | -0.03 | -0.04 |
전 북 | -0.15 | -0.12 | -0.06 | -0.05 | -0.05 | -0.03 | 0.02 | -0.01 |
전 남 | -0.15 | -0.19 | -0.05 | -0.06 | -0.04 | -0.04 | -0.01 | -0.04 |
경 북 | -0.16 | -0.26 | -0.03 | -0.01 | -0.03 | -0.06 | -0.11 | -0.06 |
경 남 | -0.26 | -0.23 | -0.05 | -0.05 | -0.05 | -0.04 | -0.05 | -0.04 |
제 주 | -0.31 | -0.25 | -0.04 | -0.05 | -0.04 | -0.03 | -0.06 | -0.05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4년 | ’25년 | |||||
‘24년 | ‘25년 | 12.30 | 1.6 | 1.13 | 1.20 | 2.3 | 2.10 | |
전 국 | 0.10 | -0.03 | 0.00 | 0.00 | -0.01 | -0.01 | 0.00 | -0.01 |
수도권 | 0.31 | -0.03 | 0.00 | 0.00 | -0.01 | -0.01 | 0.00 | 0.00 |
지 방 | -0.09 | -0.04 | -0.01 | 0.00 | -0.01 | -0.01 | 0.00 | -0.01 |
서 울 | 0.43 | 0.02 | 0.00 | -0.01 | 0.00 | 0.00 | 0.01 | 0.02 |
경 기 | 0.26 | -0.01 | 0.00 | 0.01 | -0.01 | 0.00 | 0.00 | 0.00 |
인 천 | 0.21 | -0.21 | -0.04 | -0.04 | -0.03 | -0.05 | -0.02 | -0.07 |
부 산 | -0.29 | 0.12 | 0.03 | 0.02 | 0.02 | 0.03 | 0.02 | 0.02 |
대 구 | -0.44 | -0.43 | -0.10 | -0.09 | -0.11 | -0.07 | -0.08 | -0.09 |
광 주 | -0.10 | 0.14 | 0.02 | 0.03 | 0.02 | 0.03 | 0.03 | 0.02 |
대 전 | 0.52 | -0.21 | -0.01 | -0.01 | -0.02 | -0.06 | -0.06 | -0.05 |
울 산 | 0.15 | 0.24 | 0.04 | 0.04 | 0.04 | 0.04 | 0.08 | 0.04 |
세 종 | -0.90 | -0.16 | 0.00 | -0.04 | 0.00 | -0.02 | -0.08 | -0.02 |
강 원 | 0.06 | -0.11 | 0.02 | 0.05 | -0.08 | -0.06 | -0.03 | 0.01 |
충 북 | 0.27 | 0.10 | 0.03 | 0.03 | 0.02 | 0.01 | 0.03 | 0.01 |
충 남 | -0.14 | -0.10 | -0.01 | -0.03 | 0.00 | -0.05 | -0.02 | -0.01 |
전 북 | 0.30 | -0.10 | -0.04 | 0.01 | -0.06 | -0.02 | -0.01 | -0.02 |
전 남 | -0.06 | -0.02 | -0.02 | -0.02 | -0.01 | 0.00 | 0.01 | -0.01 |
경 북 | -0.28 | -0.05 | -0.05 | -0.03 | -0.02 | 0.00 | 0.01 | -0.01 |
경 남 | -0.10 | 0.02 | 0.02 | 0.01 | 0.01 | 0.00 | 0.01 | -0.01 |
제 주 | -0.17 | -0.18 | -0.02 | -0.04 | -0.02 | -0.05 | -0.03 | -0.05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2월 2주차 주간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2월 2주차에서는 전세가격도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요즘 매매가격도 많이 떨어지고 경기가 안좋다보니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시장인 것 같습니다.
이제는 지역불패보단 지역 내에서도 어느 동네의 입지가 좋은지에 따라서
매매가 활발하고 가격 상승이 나올 것 같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3.png)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지역별 순유입 및 순유출) (193) | 2025.02.10 |
---|---|
2025년 2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195) | 2025.02.07 |
전국 토지 상승률 및 거래량 통계(지역별) (172) | 2025.02.06 |
민간 아파트 사전청약 당첨 취소자, 지원 내용 정리(우선공급) (184) | 2025.02.04 |
도시형 생활주택(소형주택) 면적 제한 완화(층수 완화) (295)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