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4년 7월 4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4. 7.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47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매매 &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202474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6% 상승, 전세가격은 0.06%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6%]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5%) 대비 상승폭 확대됐습니다.

 

수도권(0.13%0.15%) 서울(0.28%0.30%)상승폭 확대,

지방(-0.04%-0.03%)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5%-0.05%), 세종(-0.08%-0.02%), 8개도(-0.02%-0.01%))

 

시도별로는

인천(0.14%), 경기(0.08%), 강원(0.03%), 충북(0.03%), 울산(0.01%) 등은 상승,

경남(0.00%) 보합,

대구(-0.11%), 경북(-0.08%), 제주(-0.05%), 부산(-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598)은 증가,

보합 지역(97) 및 하락 지역(7473)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15%]

서울 0.30% 상승, 인천 0.14% 상승, 경기 0.08% 상승

 

 

[서울 : 0.28% 0.30%]

선호지역 중심으로 거래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시세 상승이 지속되면서

매수 심리를 자극하는 가운데, 매도희망자 다수가

시장추이 관망을 위해 매도를 보류하며 전반적인 매물량은 감소

 

(강북 14개구 : 0.25%)

성동구(0.52%)는 금호·하왕십리동 역세권 위주,

마포구(0.40%)는 염리·대흥동 신축 위주로,

용산구(0.39%) 이태원·이촌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37%)북아현·남가좌동 위주로,

광진구(0.36%)는 광장·구의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34%)

송파구(0.56%)는 잠실·가락동 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46%)는 잠원·반포동 재건축·선호단지 위주로,

강남구(0.42%)는 압구정·개포·역삼동 위주로,

강동구(0.37%)는 고덕·암사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7% 0.14%]

서구(0.35%) 정주여건 양호한 당하·원당동 위주로,

동구(0.12%) 송현·만석동 신축 위주로,

남동구(0.11%) 논현·서창동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11%)는 부개·삼산동 위주로,

중구(0.10%)는 중산·운서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경기 : 0.07% 0.08%]

오산시(-0.05%)는 오산·은계동 구축 위주로,

평택시(-0.05%)는 군문·이충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7%)는 부림·중앙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32%)는 창곡·신흥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24%)는 정자·서현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21%)는 영통·망포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지방 : -0.03%]

5대광역시 0.05% 하락, 세종 0.02%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5% -0.05%]

 

(대구 : -0.11% -0.11%)

수성구(-0.18%)는 수성동14가 및 파동 위주로,

서구(-0.18%)는 내당·중리동 주요단지 위주로,

달서구(-0.17%)는 월성동 대단지 및 상인동 구축 위주로 하락

 

(부산 : -0.05% -0.05%)

(-0.13%)는 보수영주동 구축 위주로 매수심리 감소하며,

기장군(-0.11%)은 정관일광읍 중소형 규모 위주로,

사상구(-0.09%)는 학장엄궁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8% -0.02%]

지역별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인 가운데,

어진고운대평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0.01%]

 

(경북 : -0.05% -0.08%)

구미시(-0.34%)는 고아읍 및 옥계동 구축 위주로,

칠곡군(-0.15%)은 북삼석적읍 위주로 하락

 

 

(지난주 대비 %)

구 분 7.15(전기) 7.22(당기) 비 고
1 강원 0.01 0.03 상승폭 확대
2 충북 0.00 0.03 보합에서 상승 전환
3 전북 0.01 0.01 상승폭 유지
4 경남 -0.04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5 충남 -0.01 -0.01 하락폭 유지
6 전남 -0.03 -0.02 하락폭 축소
7 제주 -0.04 -0.05 하락폭 확대
8 경북 -0.05 -0.08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6%]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6%) 대비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14%0.15%) 상승폭 확대,

서울(0.18%0.18%) 상승폭 유지,

지방(-0.02%-0.02%) 하락폭 유지됐습니다.

 

(5대광역시(-0.02%-0.02%), 세종(0.05%-0.03%), 8개도(-0.02%-0.01%))

 

시도별로는

인천(0.20%), 경기(0.12%), 강원(0.06%), 울산(0.04%)등은 상승,

부산(0.00%), 전남(0.00%)보합,

대구(-0.07%), 대전(-0.05%), 제주(-0.04%), 경남(-0.04%) 등은 하락했습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11114) 증가,

보합 지역(77)은 유지, 하락 지역(6057)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15%]

서울 0.18% 상승, 인천 0.20% 상승, 경기 0.12% 상승

 

 

[서울 : 0.18% 0.18%]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대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 및 대기수요 지속되고

상승거래 발생하며 인근 단지 및 구축으로 상승세 확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18%)

성동구(0.29%)는 마장금호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산구(0.25%)는 산천·이촌동 위주로,

노원구(0.25%)중계·상계동 학군지 위주로,

서대문구(0.25%)는 남가좌북가좌동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0.25%) 염리도화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18%)

영등포구(0.24%)는 신길·당산동 역세권 위주로,

구로구(0.23%)는 개봉·구로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양천구(0.22%)는 목신정동 위주로,

강서구(0.18%)는 마곡등촌동 위주로,

동작구(0.18%)는 본상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인천 : 0.14% 0.20%]

부평(0.35%)는 부개갈산동 구축 위주로,

서구(0.29%)는 당하·청라동 신도시 위주로,

미추홀구(0.21%) 용현·숭의동 대단지 위주로,

남동구(0.18%) 서창·구월동 주요단지 위주로,

계양구(0.11%)는 박촌효성동 준신축 및 역세권 위주로 상승

 

 

[경기 : 0.11% 0.12%]

안성시(-0.24%) 공급물량 영향으로 공도읍 및 당왕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수정구(0.41%) 창곡동·신흥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광명시(0.31%) 철산·소하동 교통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수원 팔달구(0.24%) 화서·우만동 위주로,

화성시(0.23%)는 오산동 및 남양읍 위주로 상승

 

 

[지방 : -0.02%]

5대광역시 0.02% 하락, 세종 0.03%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2% -0.02%]

 

(대구 : -0.09% -0.07%)

달성군(0.02%)은 유가현풍읍 준신축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 전환되었으나,

 

(-0.16%)는 내당중리동 위주로,

수성구(-0.14%)는 파수성동 구축 위주로 하락

 

(대전 : -0.06% -0.05%)

서구(0.02%)는 갈마도마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구(-0.13%)는 반석관평동 위주로,

동구(-0.10%)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판암천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5% -0.03%]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고운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 전환

 

 

[8개도 : -0.02% -0.01%]

 

(제주 : -0.04% -0.04%)

제주(-0.05%)는 연·외도일동 위주로,

서귀포시(-0.02%)는 동홍·강정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

 

(지난주 대비 %)

구 분 7.15(전기) 7.22(당기) 비 고
1 강원 0.03 0.06 상승폭 확대
2 충북 0.00 0.01 보합에서 상승 전환
3 충남 -0.04 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
4 전남 -0.02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5 전북 0.02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6 경북 -0.05 -0.04 하락폭 축소
7 경남 -0.05 -0.04 하락폭 축소
8 제주 -0.04 -0.04 하락폭 유지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3 ‘24 6.17 6.24 7.1 7.8 7.15 7.22
전 국 -5.86 -0.53 0.01 0.01 0.03 0.04 0.05 0.06
수도권 -6.23 0.16 0.07 0.07 0.10 0.12 0.13 0.15
지 방 -5.52 -1.19 -0.05 -0.05 -0.04 -0.03 -0.04 -0.03
서 울 -3.76 1.51 0.15 0.18 0.20 0.24 0.28 0.30
경 기 -7.74 -0.64 0.02 0.02 0.05 0.06 0.07 0.08
인 천 -5.56 0.44 0.06 0.06 0.05 0.06 0.07 0.14
부 산 -7.81 -1.92 -0.07 -0.07 -0.07 -0.05 -0.05 -0.05
대 구 -8.81 -2.96 -0.15 -0.15 -0.13 -0.11 -0.11 -0.11
광 주 -5.42 -0.80 -0.04 -0.03 -0.03 -0.04 -0.01 -0.04
대 전 -6.05 -0.76 -0.06 -0.03 0.00 -0.05 -0.04 -0.03
울 산 -6.14 -0.39 0.00 0.00 -0.01 -0.01 0.00 0.01
세 종 -5.77 -5.30 -0.04 -0.13 -0.23 -0.14 -0.08 -0.02
강 원 -2.60 0.46 0.04 -0.05 0.03 0.02 0.01 0.03
충 북 -3.71 -0.37 -0.01 -0.02 -0.02 -0.02 0.00 0.03
충 남 -4.15 -1.09 -0.06 -0.02 -0.01 0.03 -0.01 -0.01
전 북 -4.06 0.08 0.00 0.02 0.06 0.03 0.01 0.01
전 남 -4.92 -0.67 0.02 -0.03 -0.06 -0.03 -0.03 -0.02
경 북 -3.08 -0.44 -0.02 -0.07 -0.03 -0.06 -0.05 -0.08
경 남 -5.05 -1.22 -0.05 -0.05 -0.04 -0.02 -0.04 0.00
제 주 -3.97 -1.51 -0.03 -0.05 -0.03 -0.03 -0.04 -0.05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3 ‘24 6.17 6.24 7.1 7.8 7.15 7.22
전 국 -9.20 0.94 0.04 0.04 0.05 0.05 0.06 0.06
수도권 -11.35 2.52 0.11 0.12 0.12 0.13 0.14 0.15
지 방 -7.10 -0.57 -0.02 -0.03 -0.02 -0.02 -0.02 -0.02
서 울 -10.49 2.97 0.17 0.19 0.20 0.20 0.18 0.18
경 기 -11.96 2.03 0.07 0.07 0.09 0.10 0.11 0.12
인 천 -10.79 3.58 0.13 0.13 0.10 0.10 0.14 0.20
부 산 -9.96 -0.26 0.00 0.01 0.00 0.00 0.01 0.00
대 구 -12.30 -2.44 -0.08 -0.09 -0.06 -0.08 -0.09 -0.07
광 주 -5.40 -0.31 -0.01 -0.02 -0.03 -0.02 0.00 -0.02
대 전 -7.95 0.20 -0.05 -0.01 -0.07 -0.06 -0.06 -0.05
울 산 -10.29 0.92 0.02 0.03 0.03 0.02 0.02 0.04
세 종 -7.89 -5.04 -0.23 -0.18 -0.14 -0.01 0.05 -0.03
강 원 -2.55 0.77 0.06 0.02 0.04 0.06 0.03 0.06
충 북 -4.43 0.39 -0.01 0.02 0.03 -0.01 0.00 0.01
충 남 -6.06 -0.42 0.02 -0.02 0.02 -0.04 -0.04 0.01
전 북 -5.17 1.07 0.01 0.02 0.01 0.04 0.02 -0.01
전 남 -5.38 -0.07 0.01 -0.02 -0.03 -0.02 -0.02 0.00
경 북 -3.88 -1.40 -0.05 -0.05 -0.02 -0.07 -0.05 -0.04
경 남 -6.03 -1.17 -0.04 -0.06 -0.04 -0.05 -0.05 -0.04
제 주 -4.24 -0.89 -0.02 -0.04 -0.02 -0.03 -0.04 -0.04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4년 7월 4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부동산 경기가 다시 살아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수도권 쏠림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매매가격은 상승 중인 반면, 지방은 여전히 하락 추세가 많네요.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