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지역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급 지역(위치) 및 분양 시기

by Edward_S 2025. 1.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지역 수요 반영한 특화 공공임대주택 1,983호 선정

에 대한 내용인데요.

 

공공임대주택 맞춤형 주택 공급 확대

 

 

 

‘24년 하반기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 결과11곳 공급

 

특화 공공임대주택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거주공간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도서관

다양한 지원시설 공급하고 있어 입주자만족도가 높습니다.

 

또한, 일반 공공임대 주택과 마찬가지로 주택도시기금 등을 통해

국가가 건설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어 지자체 관심과 참여도가 높습니다.

 

특히, 이번 공모부터는 지자체가 입주조건과 방식을 설계할 수 있는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유형새롭게 도입하였습니다.

 

 

선정 결과는 고령자복지주택 310(2),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439(4),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234(5)1,983*입니.

 

* (지역) 서울(금천구, 영등포구, 성북구), 강원(인제군, 영월군, 양구군),

경기(남양주시, 성남시), 대전(서구) 등 총 11

 

구분 고령자복지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역제안형 합계
건수(호수) 2(310) 4(439) 5(1,234) 11(1,983)
지역 경기 남양주
강원 양구
서울 성북, 경기 성남
대전 서구, 강원 영월
서울(금천 2, 영등포 1) 강원(인제 2) -

 

 

공모에 선정된 사업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령자복지주택)

양구군과 남양주시(제안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310호 규모 추진될 예정입니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으로 미닫이 욕실문, 안전손잡이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적용임대주택 공하고,

어르신들의 건강과 여가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시설

설치하여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초고령사회 진입 등 고령화대응하기 위해

작년부터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건설임대)뿐만 아니라

매입임대, 노후임대 리모델링 고령자주택 공급방식다변화하여

작년에는 3,085*를 공급하였습니다.

 

* 건설임대 1,060, 매입임대 1,025, 노후임대 리모델링 1,000

 

올해도 지자체사업자 대상 공모 등을 통해 건설임대, 매입임대 총 2천호 추진하고,

노후임대 리모델링 1천호에 대해서는 맞춤형 내부디자인 적용*

사업고도화추진할 예정입니다.

 

*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자연친화적 색상문양 및 조명 적용 등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그간 일반 공공임대주택 공급 시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입주자격을 적용함에 따라

지역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어 이번 공모부터 신규 도입한 유형입니다.

 

지자체·공공기관 등 공공임대주택 사업시행자지역의 수요에 따라

입주자 자격, 선정방법, 거주기간 등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서울 금천구영등포구, 강원 인제군 등에

1,234호 규모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금천구(제안자 : 한국토지주택공사)에는 금천구청역 철도공사 보유부지

청년 근로소득자를 위한 초역세권 특화주택을 254호 규모로 추진합니.

 

등포구(제안자 : 서울주택도시공사)에는 무주택으로 12 이하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380호 규모 육친화주택을 추진한다.

 

이 주택은 입지가 우수한 영등포구청역 인근 당산동 공영주차장 부지에 들어섭니다.

 

강원 인제군에는 청년과 원거리 출·퇴근 중인 군무원을 위해

민군생형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로써 지역 정주인구 확보 안정적 근무환경 조성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경기 성남시와 대전광역시, 강원 영월군 등에서 439호 규모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청년 창업가, 중소기업 근로자, 지역 전략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직주 근접성을 확보하며, 창업센터와 공동 업무공간

다양한 지원시설을 제공하여 경제적 활동 주거 안정 동시에 지원합니.

 

성남시에는 판교테크노밸리에 근무하는 소득이 비교적 낮은

청년 근로자들에게 적합한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사업부지 인근에 신분당선 판교역 등이 위치하고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

우수하여 청년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화 공공임대주택 선정지구(11) 개요

 

1. 경기 남양주시 : 고령자복지주택 250* 제안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경기도 남양주 진접읍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요내용)

고령자복지주택(250, 35,429), 특화시설(왕숙지구내 인근 사회복지관 공동활용)

 

 

 

2. 강원 양구군 : 고령자복지주택 60* 제안자 : 양구군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경기도 양구군 양구읍

 

(사업시행자)

양구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요내용)

고령자복지주택(60, 6,798), 특화시설(사회복지시설 1,000)

 

 

 

3. 경기 성남시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304* 제안자 : 성남시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사업시행자)

성남시

 

(주요내용)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304, 6,690), 특화시설(도서관, 창업센터 등, 7,608)

 

 

 

4. 대전광역시 서구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87* 제안자 : 대전광역시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대전광역시 서구

 

(사업시행자)

대전시, 대전도시공사

 

(주요내용)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87, 1,723), 특화시설(돌봄공간 등, 548)

 

 

 

5. 강원 영월군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36* 제안자 : 영월군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강원도 영월군 북면

 

(사업시행자)

영월군

 

(주요내용)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36, 2,260), 특화시설(아동센터 등 인근 시설 활용)

 

 

 

6. 서울 성북구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12* 제안자 : 성북구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사업시행자)

성북구, 서울주택도시공사(SH)

 

(주요내용)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12, 340), 특화시설(코워킹 스페이스, 61)

 

 

 

7. 서울 영등포구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380* 제안자 : 서울주택도시공사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사업시행자)

울주택도시공사(SH)

 

(주요내용)

지역제안형 특화주택(380, 7,127),
특화시설(어린이집 등, 10,515), 입주대상(무주택자로서 12세 이하 자녀를 둔 사람)

 

 

 

8. 강원 인제군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300* 제안자 : 인제군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강원도 인제군 남면

 

(사업시행자)

인제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요내용)

지역제안형 특화주택(300, 16,600),
특화시설(커뮤니티센터, 300), 입주대상(청년, 군무원)

 

 

 

9. 서울 금천구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254* 제안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요내용)

지역제안형 특화주택(254, 3,330),
특화시설(피트니스, 스터디룸 등, 857), 입주대상(청년(근로소득자))

 

 

 

10. 서울 금천구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200* 제안자 : 서울주택도시공사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사업시행자)

서울시, 서울주택도시공사(SH)

 

(주요내용)

지역제안형 특화주택(200, 15,607),
특화시설(돌봄공간 등, 548), 입주대상(무주택자로서 12세 이하 자녀를 둔 사람)

 

 

 

11. 강원 인제군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0* 제안자 : 인제군

위치도 및 조감도

 

(위치)

강원도 인제군 북면

 

(사업시행자)

인제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요내용)

지역제안형 특화주택(100, 20,000),
특화시설(커뮤니티센터 등, 3,000), 입주대상(청년, 신혼부부 등)

 

* 사업추진 일정, 내용 등은 사업여건 변화 등에 따라 변동 가능

 

 

 


 

 

 

이상으로 지역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급 지역(위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수도권이나 각 지역에 주택이 공급되는 것은 좋으나

 

 

공공기관이나 시, 군청에서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분양가가 서민들이 수요가능할 수 있는 가격으로 책정되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