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3월 4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3. 28.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3 4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전국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202534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하락, 전세가격은 0.02%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하락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7%0.03%) 및 서울(0.25%0.11%)상승폭 축소,

지방(-0.04%-0.04%)하락폭 유지됐습니다.

 

(5대광역시(-0.05%-0.06%), 세종(-0.09%-0.02%), 8개도(-0.02%-0.03%))

 

 

시도별로는

전북(0.02%), 울산(0.01%) 등은 상승,

경기(0.00%) 보합,

대구(-0.13%), 인천(-0.07%), 제주(-0.06%), 광주(-0.06%),

경남(-0.05%), 대전(-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968)은 감소,

보합 지역(911)은 증가, 하락 지역(10099)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3%]

서울 0.11% 상승, 인천 0.07%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25% 0.11%]

재건축 등 일부 선호단지는 지속적인 수요 집중으로 상승거래 체결되고 있으나,

국지적인 급매 수요 및 관망심리 확대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7%)

성동구(0.35%)는 행당응봉동 역세권 위주로,

마포구(0.21%)는 염리아현동 위주로,

용산구(0.18%) 한강로이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진구(0.15%)는 광장구의동 학군지 위주로,

종로구(0.07%)는 창신평창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14%)

강남구(0.36%)는 개포압구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29%)는 목신정동 위주로,

서초구(0.28%)잠원반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송파구(-0.03%) 신천잠실동 위주로 하락하며,

강남 전체 상승폭 축소

 

 

[인천 : -0.06% -0.07%]

미추홀구(0.03%)는 용현·주안동 역세권 위주로,

중구(0.01%)중산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20%)는 청라·가정동 신도시 위주로,

연수구(-0.13%)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송도·옥련동 위주로,

계양구(-0.03%)는 작전·병방동 구축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0.00%]

이천시(-0.14%)는 부발읍·증포동 위주로,

안성시(-0.14%)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공도읍·당왕동 위주로,

평택시(-0.13%)동삭동·안중읍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55%)는 별양·중앙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6%)는 야탑·정자동 상대적 저평가 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 지속

 

 

 [지방 : -0.04%]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02%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5% -0.06%]

 

(대구 : -0.09% -0.13%)

수성구(-0.34%)는 지산·신매동 구축 위주로,

남구(-0.25%)는 매물 적체되는 대명·봉덕동 위주로,

북구(-0.17%)는 구암·산격동 위주로 하락

 

(광주 : -0.06% -0.06%)

남구(-0.10%)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주월·진월동 위주로,

광산구(-0.07%)는 산정·월곡동 구축 위주로,

동구(-0.07%)는 계림·산수동 준신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9% -0.02%]

입주물량 및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한솔·다정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0.03%]

 

(제주 : -0.05% -0.06%)

서귀포시(-0.09%)는 동홍·서홍동 위주로,

제주시(-0.05%)는 노형·일도이동 위주로 미분양 물량 적체되며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17(전기) 3.24(당기) 비 고
1 전북 0.03 0.02 상승폭 축소
2 전남 -0.03 -0.02 하락폭 축소
3 경북 -0.06 -0.02 하락폭 축소
4 강원 0.00 -0.04 보합에서 하락 전환
5 충북 0.01 -0.04 상승에서 하락 전환
6 충남 -0.04 -0.04 하락폭 유지
7 경남 -0.03 -0.05 하락폭 확대
8 제주 -0.05 -0.06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상승폭 확대됐습니다.

 

수도권(0.04%0.04%)상승폭 유지,

서울(0.07%0.06%)상승폭 축소,

지방(-0.02%-0.01%)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2%0.00%), 세종(-0.07%0.03%), 8개도(-0.01%-0.01%))

 

 

시도별로는

울산(0.07%), 경기(0.04%), 부산(0.03%), 전남(0.02%) 등은 상승,

인천(0.00%), 광주(0.00%)보합,

제주(-0.06%), 대전(-0.06%), 대구(-0.06%), 경북(-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0399)은 감소,

보합 지역(913)은 증가, 하락 지역(6666)은 유지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4%]

서울 0.06% 상승, 인천 0.00% 보합, 경기 0.04% 상승

 

 

[서울 : 0.07% 0.06%]

역세권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 지속되고 있으나,

일부 입주 영향있는 지역 및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 하락하며,

서울 전체 상승폭 소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3%)

성북구(-0.02%)는 정릉·길음동 위주로,

동대문구(-0.02%)는 이문·전농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동구(0.08%)는 행당·옥수동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0.07%)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노원구(0.07%)는 상계·중계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8%)

송파구(0.20%)는 신천·잠실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강동구(0.12%)는 둔촌·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11%)는 신대방·상도동 위주로,

영등포구(0.09%)는 대림·신길동주요단지 위주로,

강서구(0.08%)는 가양·등촌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인천 : 0.00% 0.00%]

서구(-0.11%)는 청라·원당동 신도시 위주로,

중구(-0.02%)는 중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미추홀구(0.08%)는 도화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동구(0.04%)는 만석·화수동 위주로,

남동구(0.03%)정주여건 양호한 논현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전체 보합 지속

 

 

[경기 : 0.03% 0.04%]

평택시(-0.10%)는 합정·비전동 위주로,

광명시(-0.09%)입주물량 영향있는 철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37%) 재건축 이주 수요있는 별양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16%) 매탄·영통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14%)는 동천·풍덕천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1%]

5대광역시 0.00% 보합, 세종 0.03% 상승,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2% 0.00%]

 

(울산 : 0.06% 0.07%)

동구(0.14%)는 전하·서부동 대단지 위주로,

북구(0.08%)는 중산·화봉동 위주로,

중구(0.06%)는 유곡·반구·복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대구 : -0.09% -0.06%)

동구(-0.13%)는 신암·방촌동 위주,

북구(-0.11%)는 태전동 구축 및 입주물량 영향있는 읍내동·칠성동2가 위주로,

중구(-0.08%)는 남산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7% 0.03%]

·반곡동·조치원읍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하락에서 상승 전환

 

 

[8개도 : -0.01% -0.01%]

 

(제주 : -0.05% -0.06%)

제주시(-0.06%)는 연·노형동 위주로,

서귀포시(-0.06%)는 동홍동·대정읍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17(전기) 3.24(당기) 비 고
1 전남 0.02 0.02 상승폭 유지
2 전북 0.00 0.01 보합에서 상승 전환
3 충북 0.03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4 충남 -0.04 -0.01 하락폭 축소
5 경남 -0.01 -0.01 하락폭 유지
6 강원 0.04 -0.02 상승에서 하락 전환
7 경북 -0.04 -0.03 하락폭 축소
8 제주 -0.05 -0.06 하락폭 확대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17 2.24 3.3 3.10 3.17 3.24
전 국 -0.58 -0.25 -0.03 -0.02 -0.01 0.00 0.02 -0.01
수도권 -0.58 0.04 -0.01 0.01 0.02 0.05 0.07 0.03
지 방 -0.57 -0.53 -0.04 -0.05 -0.04 -0.05 -0.04 -0.04
서 울 -0.36 0.91 0.06 0.11 0.14 0.20 0.25 0.11
경 기 -0.75 -0.29 -0.04 -0.04 -0.04 0.00 0.00 0.00
인 천 -0.36 -0.64 -0.06 -0.03 -0.03 -0.05 -0.06 -0.07
부 산 -0.95 -0.64 -0.06 -0.06 -0.05 -0.08 -0.04 -0.04
대 구 -1.37 -1.39 -0.09 -0.11 -0.10 -0.10 -0.09 -0.13
광 주 -0.36 -0.52 -0.05 -0.06 -0.04 -0.05 -0.06 -0.06
대 전 -0.19 -0.54 -0.05 -0.05 -0.04 -0.05 -0.06 -0.05
울 산 -0.20 0.08 0.00 0.00 0.02 0.00 0.02 0.01
세 종 -2.23 -0.97 -0.12 -0.08 -0.09 -0.14 -0.09 -0.02
강 원 0.25 -0.30 -0.02 0.01 0.01 -0.04 0.00 -0.04
충 북 -0.22 -0.16 -0.02 -0.01 -0.02 -0.01 0.01 -0.04
충 남 -0.75 -0.46 -0.05 -0.01 -0.04 -0.07 -0.04 -0.04
전 북 -0.28 0.03 0.01 0.04 0.01 0.03 0.03 0.02
전 남 -0.29 -0.44 -0.08 -0.04 -0.04 -0.04 -0.03 -0.02
경 북 -0.21 -0.56 -0.03 -0.10 -0.05 -0.05 -0.06 -0.02
경 남 -0.48 -0.46 -0.03 -0.04 -0.04 -0.03 -0.03 -0.05
제 주 -0.61 -0.56 -0.05 -0.03 -0.07 -0.06 -0.05 -0.06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17 2.24 3.3 3.10 3.17 3.24
전 국 0.21 0.01 0.00 0.00 0.01 0.01 0.01 0.02
수도권 0.68 0.12 0.01 0.01 0.02 0.03 0.04 0.04
지 방 -0.24 -0.09 -0.01 0.00 0.00 -0.01 -0.02 -0.01
서 울 0.80 0.27 0.02 0.03 0.03 0.05 0.07 0.06
경 기 0.57 0.12 0.01 0.01 0.02 0.02 0.03 0.04
인 천 0.89 -0.28 -0.04 -0.04 0.00 0.01 0.00 0.00
부 산 -0.46 0.31 0.03 0.05 0.02 0.03 0.02 0.03
대 구 -1.12 -0.81 -0.08 -0.03 -0.05 -0.07 -0.09 -0.06
광 주 -0.17 0.23 0.03 0.03 0.03 0.00 0.01 0.00
대 전 0.75 -0.54 -0.05 -0.04 -0.04 -0.05 -0.10 -0.06
울 산 0.31 0.62 0.05 0.07 0.07 0.07 0.06 0.07
세 종 -2.27 -0.32 -0.03 -0.01 0.02 -0.09 -0.07 0.03
강 원 0.21 -0.04 -0.01 -0.02 0.00 0.07 0.04 -0.02
충 북 0.36 0.25 0.03 0.03 0.01 0.07 0.03 -0.01
충 남 -0.37 -0.29 -0.05 -0.02 -0.02 -0.05 -0.04 -0.01
전 북 0.53 -0.20 -0.01 -0.04 -0.03 -0.02 0.00 0.01
전 남 -0.07 -0.09 -0.02 -0.03 -0.03 -0.03 0.02 0.02
경 북 -0.55 -0.20 -0.04 -0.01 -0.01 -0.02 -0.04 -0.03
경 남 -0.26 -0.04 -0.02 -0.01 0.00 0.00 -0.01 -0.01
제 주 -0.25 -0.49 -0.05 -0.03 -0.05 -0.07 -0.05 -0.06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3월 4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저번주와 마찬가지로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매매가격은 하락 추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토부에서 서울 집값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대책을 세우긴 했지만,

 

 

실효성이 있는지는 당분간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