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매입임대주택 모집 기간 및 입주 조건, 일자
에 대한 내용인데요.

전국 16개 시·도 총 4,075호 모집
3월 27일부터 신청 및 6월 말 이후부터 입주
국토교통부는 3월 27일(목)부터 전국 16개 시·도에서
청년과 신혼·신생아 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입주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모집 규모는 청년 1,776호, 신혼·신생아 가구 2,299호 등 총 4,075호로,
신청자 자격 검증 등을 거쳐 이르면 6월 말부터 입주할 수 있습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공급하며,
시세 4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10년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무주택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시세 30~40% 수준의 ①신혼·신생아Ⅰ 유형(1,290호)과
시세 70~80% 수준의 ②신혼·신생아Ⅱ 유형(1,009호)으로 나누어 공급합니다.
※ 신혼·신생아Ⅰ 유형: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맞벌이 90%) 이하
신혼·신생아Ⅱ 유형: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30%(맞벌이 200%) 이하
신생아 가구*는 1순위 입주자로 모집하여 우선공급하며,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등도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생아 가구) 입주자 모집 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
(임신진단서 등으로 확인되는 태아, 2년 이내 출생한 입양자 포함)가 있는 가구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모집하는 청년(1,676호),
신혼·신생아(1,399호) 매입임대주택은 3월 27일(목)부터
LH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주택도시공사 등에서 모집하는 매입임대주택(1,000호)은
해당 기관별 누리집(붙임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매입임대 사업절차 및 모집 예상 물량
□ ‘25년 입주자 모집 물량(안)
구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청년, 신혼·신생아 (수도권) |
4,075 (2,392) |
4,279 (2,535) |
3,875 (2,202) |
6,587 (4,799) |
18,816 (11,928) |
* 분기별 입주자 모집 물량은 매입 시장 상황, 퇴거 세대 수 등에 따라 유동적이며, 정확한 물량은 매 분기 발표
**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외 일반, 고령자 등은 수시 모집 중
□ 청년, 신혼·신생아 매입임대 소득·자산 기준
구 분 | 청년 | 신혼·신생아 가구Ⅰ | 신혼·신생아 가구Ⅱ |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
100% 이하 (2순위 본인+부모 3순위 본인) |
70% 이하 (부부합산 90%) |
1∼5순위 130% 이하(부부합산 200%) |
|
자산 기준 | 총자산 | 2순위: 33,700만원 3순위: 25,400만원 |
33,700만원 | 35,400만원 |
자동차 | 3,803만원 | 3,803만원 | 3,803만원 | |
주택 유형 | 오피스텔 등 | 다가구주택 등 | 다가구주택+아파트‧오피스텔 | |
임대료 | 시세 40%∼50% | 시세 30%∼40% | 시세 70%∼80% | |
거주기간 | 최대 10년 | 최대 20년 | 최대 10년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14년) |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 평균(100%) 소득
(단위: 원)
구 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2025년 | 4,317,797 | 6,024,703 | 7,626,973 | 8,578,088 | 9,031,048 |
* 1인 가구는 20%p, 2인 가구는 10%p 가산 적용한 금액
📃 기관별 매입임대주택 공고 물량 및 접수 일정
□ 지역별 입주자 모집 물량
구분 | 서울 | 경기 | 인천 | 광주 | 부산 | 대구 | 대전 | 울산 | 강원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충북 | 충남 | 제주 |
호수 | 1,181 | 882 | 329 | 97 | 287 | 352 | 71 | 15 | 170 | 125 | 119 | 189 | 18 | 112 | 109 | 19 |
□ 한국토지주택공사(3,075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한국 토지 주택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전국 | 1,676 | 3.27 | ’25.4월 초 | ’25.6월 중 | ’25.6월말 이후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Ⅰ | 전국 | 790 | 3.27 | ’25.4월 초 | ’25.6월 중 | ’25.6월말 이후 |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Ⅱ | 전국 | 609 | 3.27 | ’25.4월 초 | ’25.6월 중 | ’25.6월말 이후 | |
공고문 게재 :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 |
* 각 지역본부별 일정이 상이하오니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주택도시공사(900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서울 주택 도시 공사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Ⅰ | 서울시 전역 | 500 | 3.28 | 4.8~4.10 | 7.23 | ’25.9월 이후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Ⅱ | 서울시 전역 | 400 | 3.28 | 4.8~4.10 | 7.23 | ’25.9월 이후 | |
공고문 게재 :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https://www.i-sh.co.kr) |
□ 대구도시개발공사(100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경북 개발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대구시 전역 | 100 | ‘25.5월 | ‘25.5월 | ‘25.8월 | ‘25.8월 |
공고문 게재 : 대구도시개발공사 누리집(https://www.dudc.or.kr) |
📃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매입임대주택 입주 자격
공급 유형 |
신청자격 | 입주순위 | 자산기준 (단위 : 만원) |
||
총자산 | 자동차 | ||||
청년 |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 * 대학생, 취업준비생, 또는 19∼39세 |
1순위 | •수급자, 한부모가족, 차상위 계층 가구 |
- | - |
2순위 | •본인+부모 소득 100% 이하 |
33,700 (국민임대) |
3,803 | ||
3순위 | •본인 소득 100% 이하 | 25,400 (행복주택-청년) |
3,803 | ||
신혼 신생아Ⅰ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신생아 출산 가구* *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자산) 국민임대 자산기준 |
1순위 | •신생아 출산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33,700 | 3,803 |
2순위 | •미성년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
||||
3순위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4순위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신혼 신생아Ⅱ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신생아 출산 가구* *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소득) 130%(맞벌이 200%) 이하 •(자산) 임대의무기간이 6년인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자산기준 |
1순위 | •신생아 출산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35,400 | 3,803 |
2순위 | •미성년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
||||
3순위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4순위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5순위 | •모든 혼인가구 |
이상으로 청년, 신혼·신생아매입임대주택 신청 기간 및 자격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저렴한 임대료로 청년은 최대 10년, 신혼부부는 최대 20년 거주 할 수 있으니
자격이 되시는 분들은 신청하시어 분양가와 매매가격이 높은 요즘
내집 마련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투자도 AI로 자동 운용 가능!(방법 및 시행 운용사) (254) | 2025.04.02 |
---|---|
신혼부부 및 출산가구 저렴하게 내집마련 하는 꿀팁!(임대주택) (136) | 2025.04.01 |
2025년 3월 4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304) | 2025.03.28 |
국민연금 개혁안 총 정리(보험료율 최대13% 인상) (248) | 2025.03.27 |
갭투자 차단하는 최신 부동산 정책(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226)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