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2월 3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2. 21.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5 2 3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202523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4%) 대비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수도권(-0.03%-0.01%)하락폭 축소,

서울(0.02%0.06%)상승폭 확대,

지방(-0.05%-0.04%)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6%-0.06%), 세종(-0.12%-0.12%), 8개도(-0.04%-0.03%))

 

 

시도별로는

전북(0.01%) 등은 상승,

울산(0.00%)보합,

대구(-0.09%), 전남(-0.08%), 부산(-0.06%), 인천(-0.06%), 제주(-0.05%),

충남(-0.05%), 대전(-0.05%), 광주(-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245)

보합 지역(610)은 증가, 하락 지역(130123)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1%]

서울 0.06% 상승, 인천 0.06% 하락, 경기 0.04% 하락

 

 

[서울 : 0.02% 0.06%]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희망가격 상승하고 상승거래 체결되는 등

지난주 대비 상승폭 확대

 

(강북 14개구 : -0.01%)

광진구(0.05%)는 광장·구의동 위주로,

마포구(0.02%)는 아현·공덕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대문구(-0.05%)는 장안·답십리동 위주로,

노원구(-0.04%)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4%)는 방학·창동 위주로 하락

 

(강남 11개구 : 0.12%)

금천구(-0.01%)는 시흥·독산동 위주로,

구로구(-0.01%)는 구로·개봉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36%)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27%)는 대치·청담동 위주로,

서초구(0.18%)는 서초·잠원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8% -0.06%]

계양구(-0.12%)는 효성·작전동 위주로,

서구(-0.10%)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연수구(-0.10%)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송도동 위주로,

남동구(-0.04%)는 논현·서창동 위주로,

중구(-0.03%)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운남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5% -0.04%]

과천시(0.15%)는 재건축사업 진행 중인 별양·부림동 위주로,

부천 원미구(0.14%)는 상·중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으나,

 

평택시(-0.23%)는 청북·안중읍 위주로,

광명시(-0.18%)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하안·광명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4%)는 하대원·금광동 위주로 하락

 

 

[지방 : -0.04%]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12%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6% -0.06%]

 

(대구 : -0.12% -0.09%)

서구(-0.22%)는 중리·평리동 대단지 위주로,

북구(-0.15%)는 태전·구암동 구축 위주로,

남구(-0.14%) 봉덕·대명동 위주로,

달서구(-0.10%)는 이곡·본동 위주로 하락

 

(부산 : -0.06% -0.06%)

사상구(-0.13%)는 주례·덕포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강서구(-0.10%)는 지사·명지동 준신축 위주로,

해운대구(-0.10%)는 좌·재송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세종 : -0.12% -0.12%]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새롬·보람·다정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4% -0.03%]

 

(전남 : -0.04% -0.08%)

광양시(-0.46%)는 중동 대단지 및 광양읍 위주로,

여수시(-0.04%)는 문수동·돌산읍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2.10(전기) 2.17(당기) 비 고
1 전북 -0.01 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
2 강원 -0.08 -0.02 하락폭 축소
3 충북 0.02 -0.02 상승에서 하락 전환
4 경북 -0.06 -0.03 하락폭 축소
5 경남 -0.04 -0.03 하락폭 축소
6 충남 -0.04 -0.05 하락폭 확대
7 제주 -0.05 -0.05 하락폭 유지
8 전남 -0.04 -0.08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0%0.01%) 상승 전환,

서울(0.02%0.02%)상승폭 유지,

지방(-0.01%-0.01%)하락폭 유지됐습니다.

 

(5대광역시(-0.01%0.00%), 세종(-0.02%-0.03%), 8개도(-0.01%-0.02%))

 

 

시도별로는

울산(0.05%), 부산(0.03%), 광주(0.03%), 충북(0.03%), 경기(0.01%) 등은 상승,

대구(-0.08%), 제주(-0.05%), 충남(-0.05%), 대전(-0.05%),

경북(-0.04%), 인천(-0.04%)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7891)은 증가,

보합 지역(139) 하락 지역(8778)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1%]

서울 0.02% 상승, 인천 0.04% 하락, 경기 0.01% 상승

 

 

[서울 : 0.02% 0.02%]

외곽지역 및 구축에서는 전세가격 하락 지속되고 있으나,

학군지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에서는 임차 문의 꾸준히 유지되고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0%)

동대문구(-0.11%)는 전농·장안동 위주로,

성동구(-0.07%)는 행당·옥수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북구(0.05%)미아·수유동 위주로,

노원구(0.05%)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4%)는 쌍문·방학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4%)

구로구(-0.02%)는 고척·구로동 위주로,

관악구(-0.01%)는 신림·봉천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3%) 신천·방이동 위주로,

강서구(0.05%)는 염창·가양동 위주로,

영등포구(0.05%) 당산·대림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7% -0.04%]

부평구(0.02%)는 삼산·산곡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12%)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청라·원당·가정동 위주로,

중구(-0.12%)는 중산·운서동 위주로,

계양구(-0.05%)는 병방·박촌동 위주로,

남동구(-0.04%)는 서창·논현·구월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0.01%]

광명시(-0.45%)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광명·철산·하안동 위주로,

평택시(-0.13%)는 청북읍·세교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분당구(0.14%)는 정자·이매·야탑동 위주로,

부천 원미구(0.13%)는 상·중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1%)는 상대원·은행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에서 상승 전환

 

 

[지방 : -0.01%]

5대광역시 0.00% 보합, 세종 0.03% 하락, 8개도 0.02% 하락

 

 

[5대광역시 : -0.01% 0.00%]

 

(대구 : -0.09% -0.08%)

북구(-0.17%)는 태전·구암동 구축 및 준신축 위주로,

남구(-0.15%)는 대명동 소형 규모 위주로,

수성구(-0.11%)는 범어·지산·만촌동 위주로 하락

 

(대전 : -0.05% -0.05%)

유성구(0.01%)는 지족·송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했으나,

 

중구(-0.18%)는 태평·문화·목동 위주로,

동구(-0.07%)는 홍도·대성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2% -0.03%]

조치원읍 및 다정·도담·보람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1% -0.02%]

 

(제주 : -0.05% -0.05%)

서귀포시(-0.07%)는 동홍동 소형 규모 위주로,

제주시(-0.04%)는 연·일도이동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2.10(전기) 2.17(당기) 비 고
1 충북 0.01 0.03 상승폭 확대
2 강원 0.01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3 전북 -0.02 -0.01 하락폭 축소
4 전남 -0.01 -0.02 하락폭 확대
5 경남 -0.01 -0.02 하락폭 확대
6 경북 -0.01 -0.04 하락폭 확대
7 충남 -0.01 -0.05 하락폭 확대
8 제주 -0.05 -0.05 하락폭 유지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1.6 1.13 1.20 2.3 2.10 2.17
전 국 -0.35 -0.23 -0.03 -0.04 -0.05 -0.04 -0.04 -0.03
수도권 -0.39 -0.14 -0.02 -0.03 -0.03 -0.02 -0.03 -0.01
지 방 -0.31 -0.32 -0.05 -0.05 -0.07 -0.06 -0.05 -0.04
서 울 -0.27 0.10 0.00 0.00 0.00 0.02 0.02 0.06
경 기 -0.48 -0.22 -0.01 -0.04 -0.04 -0.03 -0.05 -0.04
인 천 -0.26 -0.41 -0.07 -0.06 -0.06 -0.08 -0.08 -0.06
부 산 -0.52 -0.37 -0.07 -0.05 -0.07 -0.06 -0.06 -0.06
대 구 -0.71 -0.86 -0.13 -0.15 -0.16 -0.21 -0.12 -0.09
광 주 -0.20 -0.25 -0.05 -0.03 -0.05 -0.03 -0.03 -0.05
대 전 -0.05 -0.29 -0.01 -0.02 -0.08 -0.07 -0.06 -0.05
울 산 -0.09 0.02 0.00 -0.01 0.00 0.03 0.00 0.00
세 종 -1.20 -0.55 -0.08 -0.06 -0.09 -0.07 -0.12 -0.12
강 원 0.08 -0.25 0.00 -0.07 -0.06 -0.02 -0.08 -0.02
충 북 -0.12 -0.09 -0.03 0.00 -0.07 0.01 0.02 -0.02
충 남 -0.36 -0.26 -0.03 -0.05 -0.06 -0.03 -0.04 -0.05
전 북 -0.19 -0.10 -0.05 -0.05 -0.03 0.02 -0.01 0.01
전 남 -0.16 -0.27 -0.06 -0.04 -0.04 -0.01 -0.04 -0.08
경 북 -0.16 -0.29 -0.01 -0.03 -0.06 -0.11 -0.06 -0.03
경 남 -0.30 -0.26 -0.05 -0.05 -0.04 -0.05 -0.04 -0.03
제 주 -0.37 -0.30 -0.05 -0.04 -0.03 -0.06 -0.05 -0.05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1.6 1.13 1.20 2.3 2.10 2.17
전 국 0.11 -0.04 0.00 -0.01 -0.01 0.00 -0.01 0.00
수도권 0.36 -0.02 0.00 -0.01 -0.01 0.00 0.00 0.01
지 방 -0.12 -0.06 0.00 -0.01 -0.01 0.00 -0.01 -0.01
서 울 0.48 0.04 -0.01 0.00 0.00 0.01 0.02 0.02
경 기 0.30 0.01 0.01 -0.01 0.00 0.00 0.00 0.01
인 천 0.27 -0.25 -0.04 -0.03 -0.05 -0.02 -0.07 -0.04
부 산 -0.35 0.15 0.02 0.02 0.03 0.02 0.02 0.03
대 구 -0.54 -0.51 -0.09 -0.11 -0.07 -0.08 -0.09 -0.08
광 주 -0.12 0.17 0.03 0.02 0.03 0.03 0.02 0.03
대 전 0.57 -0.26 -0.01 -0.02 -0.06 -0.06 -0.05 -0.05
울 산 0.18 0.29 0.04 0.04 0.04 0.08 0.04 0.05
세 종 -1.09 -0.19 -0.04 0.00 -0.02 -0.08 -0.02 -0.03
강 원 0.07 -0.12 0.05 -0.08 -0.06 -0.03 0.01 -0.01
충 북 0.27 0.13 0.03 0.02 0.01 0.03 0.01 0.03
충 남 -0.19 -0.16 -0.03 0.00 -0.05 -0.02 -0.01 -0.05
전 북 0.33 -0.11 0.01 -0.06 -0.02 -0.01 -0.02 -0.01
전 남 -0.04 -0.04 -0.02 -0.01 0.00 0.01 -0.01 -0.02
경 북 -0.31 -0.10 -0.03 -0.02 0.00 0.01 -0.01 -0.04
경 남 -0.12 0.00 0.01 0.01 0.00 0.01 -0.01 -0.02
제 주 -0.18 -0.23 -0.04 -0.02 -0.05 -0.03 -0.05 -0.05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2월 3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지방은 매매 및 전세도 다 하락 중인데 

 

 

서울은 얼마 전 강남에 높이제한 완화로 인해 부동산이 다시 상승하려는 추세가 보이고 있습니다.

 

 

인구수도 줄면서 경기도 어렵고 하니 역시 부동산은 서울인가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