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4년 11월 2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4. 11.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4112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매매 &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2024112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4%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5%0.03%) 및 서울(0.07%0.06%) 상승폭 축소,

지방(-0.02%-0.03%)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3%-0.04%), 세종(-0.08%-0.04%), 8개도(-0.01%-0.01%))

 

 

시도별로는

경기(0.02%), 울산(0.01%), 충북(0.01%)상승,

인천(0.00%), 전북(0.00%), 전남(0.00%)보합,

대구(-0.08%), 제주(-0.05%), 부산(-0.05%), 충남(-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382)은 감소,

보합 지역(811) 및 하락 지역(7785)은 증가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3%]

서울 0.06% 상승, 인천 0.00% 보합, 경기 0.02% 상승

 

 

[서울 : 0.07% 0.06%]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는 상승거래 신고 등 수요가 꾸준하나,

그 외 단지는 대출규제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으로 거래가 정체되는 등

혼조세를 보이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5%)

(0.10%)신당·흥인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용산구(0.10%)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종로구(0.09%)명륜2무악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성동구(0.09%)는 성수·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진구(0.09%)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7%)

강남구(0.19%)는 압구정청담동 위주로,

서초구(0.11%)는 잠원·반포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양천구(0.06%)는 목신월동 위주로,

영등포구(0.06%)는 당산동4·문래동3가 등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02% 0.00%]

서구(0.08%)는 정주여건 양호한 가정·청라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갈산·산곡동 등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남동구(-0.05%)는 만수·간석동 구축 위주로,

연수구(-0.04%)는 연수·동춘동 구도심 위주로,

동구(-0.02%)는 송림·화수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상승에서 보합 전환

 

 

[경기 : 0.04% 0.02%]

이천시(-0.14%)는 증포동·부발읍 구축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0%)는 일산·주엽동 위주로,

광주시(-0.07%)는 양벌동·초월읍 위주로 하락했으나,

 

안양 만안구(0.14%)는 안양·석수동 위주로,

부천 원미구(0.14%)는 역곡·중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중원구(0.13%)는 은행·상대원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

 

 

[지방 : -0.03%]

5대광역시 0.04% 하락, 세종 0.04%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0.03% -0.04%]

 

(대구 : -0.06% -0.08%)

달서구(-0.13%)는 용산·도원동 대단지 위주로,

달성군(-0.12%)은 화원·다사읍 위주로,

남구(-0.12%)는 봉덕·이천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0%)는 지산·범물동 위주로 하락

 

(부산 : -0.04% -0.05%)

사상구(-0.14%)는 주례·엄궁동 소형 규모 위주로,

해운대구(-0.09%)는 재송·중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동구(-0.08%)는 초량·수정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8% -0.04%]

지역별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나성·보람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 축소

 

 

[8개도 : -0.01% -0.01%]

 

(제주 : -0.04% -0.05%)

서귀포시(-0.06%)는 중문·동홍동 구축 위주로,

제주시(-0.05%)는 일도이·이도이동 위주로 하락

 

(지난주 대비 %)

구 분 11.4(전기) 11.11(당기) 비 고
1 충북 0.01 0.01 상승폭 유지
2 전북 0.03 0.00 상승에서 보합 전환
3 전남 -0.01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4 경북 -0.07 -0.01 하락폭 축소
5 경남 0.01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6 강원 -0.01 -0.03 하락폭 확대
7 충남 0.00 -0.03 보합에서 하락 전환
8 제주 -0.04 -0.05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7%0.07%)상승폭 유지,

서울(0.06%0.05%)상승폭 축소,

지방(0.01%0.01%)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5대광역시(0.01%0.01%), 세종(0.04%0.01%), 8개도(0.01%0.01%))

 

 

시도별로는

인천(0.11%), 경기(0.07%), 광주(0.04%), 울산(0.04%), 충북(0.04%) 등은 상승,

강원(0.00%)보합,

제주(-0.04%), 대구(-0.04%), 대전(-0.03%), 전남(-0.01%)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2120)은 감소,

보합 지역(68)은 증가, 하락 지역(5050)은 유지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7%]

서울 0.05% 상승, 인천 0.11% 상승, 경기 0.07% 상승

 

 

[서울 : 0.06% 0.05%]

선호단지의 임차수요 꾸준하여 전세가격 상승 지속되고 있으나,

시중 대출금리 인상 영향과 일부 단지에서 하락거래 발생 등으로

서울 전체 전주 대비 상승폭 소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6%)

노원구(0.13%)는 중계·월계동 역세권 위주로,

중구(0.07%)는 신당·흥인동 위주로,

용산구(0.07%)는 이촌·문배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06%)는 이문·장안동 위주로,

중랑구(0.05%)는 신내면목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4%)

강남구(0.14%)는 개포·대치동 학군지 위주로,

영등포구(0.12%)는 신길·여의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양천구(0.08%)는 신월·목동 위주로,

강서구(0.08%)는 염창·등촌동 역세권 위주로,

관악구(0.07%)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14% 0.11%]

부평구(0.17%)는 부개십정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서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당하·청라동 위주로,

계양구(0.10%) 작전·효성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09%)는 연수동춘동 역세권 위주로,

미추홀구(0.06%)는 숭의·주안동 위주로 상승

 

 

[경기 : 0.06% 0.07%]

이천시(-0.19%)는 공급물량 영향 등으로 부발읍 및 증포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0%)는 야탑·이매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수정구(0.22%)는 신흥·창곡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22%)는 일산·대화동 학군지 위주로 상승

 

 

[지방 : 0.01%]

5대광역시 0.01% 상승, 세종 0.01% 상승, 8개도 0.01% 상승

 

 

[5대광역시 : 0.01% 0.01%]

 

(광주 : 0.04% 0.04%)

서구(-0.01%)는 치평풍암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남구(0.10%)는 주월백운동 위주로,

동구(0.09%) 정주여건 양호한 산수용산동 위주로 상승

 

(울산 : 0.05% 0.04%)

중구(0.06%)는 우정태화동 준신축 위주로,

북구(0.05%)는 중산매곡동 위주로,

남구(0.04%)는 신정달동 위주로,

동구(0.02%)는 전하화정동 위주로 상승

 

 

[세종 : 0.04% 0.01%]

상승하락 혼조한 가운데, 정주여건 양호한 도담소담동 위주로 상승

 

 

[8개도 : 0.01% 0.01%]

 

(충북 : 0.01% 0.04%)

음성군(0.10%)은 금왕음성읍 위주로,

제천(0.07%)는 공급부족 영향 보이며 천남신백동 위주로 상승

 

(지난주 대비 %)

구 분 11.4(전기) 11.11(당기) 비 고
1 충북 0.01 0.04 상승폭 확대
2 경남 0.05 0.03 상승폭 축소
3 경북 0.01 0.02 상승폭 확대
4 전북 0.03 0.01 상승폭 축소
5 강원 -0.02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6 충남 0.01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7 전남 -0.01 -0.01 하락폭 유지
8 제주 -0.05 -0.04 하락폭 축소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3 ‘24 10.7 10.14 10.21 10.28 11.4 11.11
전 국 -4.98 0.14 0.01 0.02 0.02 0.01 0.01 0.00
수도권 -4.74 1.87 0.06 0.07 0.05 0.05 0.05 0.03
지 방 -5.22 -1.49 -0.02 -0.03 -0.02 -0.03 -0.02 -0.03
서 울 -2.31 4.31 0.10 0.11 0.09 0.08 0.07 0.06
경 기 -6.07 0.56 0.04 0.06 0.04 0.05 0.04 0.02
인 천 -4.81 1.72 0.02 0.06 0.06 0.01 0.02 0.00
부 산 -8.28 -2.45 -0.03 -0.07 -0.05 -0.05 -0.04 -0.05
대 구 -8.23 -4.20 -0.11 -0.11 -0.05 -0.06 -0.06 -0.08
광 주 -5.36 -1.20 -0.04 -0.03 -0.02 -0.03 -0.03 -0.02
대 전 -5.16 -1.02 -0.02 -0.02 -0.02 -0.02 -0.01 -0.02
울 산 -5.58 -0.25 0.01 0.00 0.02 0.02 0.02 0.01
세 종 -4.84 -6.05 -0.07 -0.08 -0.01 -0.08 -0.08 -0.04
강 원 -1.76 0.53 -0.03 -0.01 -0.01 -0.05 -0.01 -0.03
충 북 -2.56 -0.31 0.03 -0.02 0.01 -0.02 0.01 0.01
충 남 -3.75 -1.20 -0.02 0.00 -0.01 0.01 0.00 -0.03
전 북 -3.83 0.53 0.06 0.05 0.00 -0.02 0.03 0.00
전 남 -5.45 -0.77 0.00 -0.02 -0.01 -0.02 -0.01 0.00
경 북 -2.14 -0.83 -0.05 -0.03 -0.02 -0.04 -0.07 -0.01
경 남 -5.04 -1.33 0.01 -0.01 0.00 0.01 0.01 -0.01
제 주 -4.53 -2.13 -0.02 -0.04 -0.03 -0.03 -0.04 -0.05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
‘23 ‘24 10.7 10.14 10.21 10.28 11.4 11.11
전 국 -7.79 1.89 0.05 0.06 0.05 0.05 0.04 0.04
수도권 -8.76 4.50 0.10 0.12 0.10 0.09 0.07 0.07
지 방 -6.86 -0.57 0.00 0.01 0.01 0.00 0.01 0.01
서 울 -8.22 5.07 0.10 0.10 0.09 0.08 0.06 0.05
경 기 -8.93 3.61 0.08 0.11 0.07 0.08 0.06 0.07
인 천 -9.40 7.08 0.20 0.26 0.22 0.16 0.14 0.11
부 산 -10.37 0.16 0.02 0.04 0.04 0.02 0.03 0.03
대 구 -12.64 -3.39 -0.05 -0.09 -0.03 -0.05 -0.04 -0.04
광 주 -5.27 -0.18 -0.01 0.01 0.02 0.02 0.04 0.04
대 전 -5.99 -0.20 -0.01 -0.02 -0.03 -0.02 -0.02 -0.03
울 산 -10.44 1.50 0.04 0.04 0.04 0.04 0.05 0.04
세 종 -4.67 -5.28 -0.03 0.00 0.02 0.10 0.04 0.01
강 원 -1.92 1.13 0.01 0.02 -0.03 0.02 -0.02 0.00
충 북 -3.47 0.52 0.05 0.02 0.02 0.00 0.01 0.04
충 남 -5.74 -0.51 0.00 -0.01 -0.03 0.00 0.01 -0.01
전 북 -4.84 1.26 0.04 0.02 0.03 0.03 0.03 0.01
전 남 -5.52 -0.10 0.00 0.00 -0.01 -0.02 -0.01 -0.01
경 북 -3.75 -1.66 -0.03 0.00 0.01 -0.03 0.01 0.02
경 남 -5.87 -0.92 0.02 0.05 0.05 0.03 0.05 0.03
제 주 -4.56 -1.46 -0.04 -0.04 -0.02 -0.02 -0.05 -0.04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4년 11월 2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매매가격은 지난주까지 소폭 상승하다 금주에는 보합까지 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 기준금리는 하락하지만,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매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전국적으로 전세가격이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분간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