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4년 11월 2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이 2024년 11월 2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4%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5%→0.03%) 및 서울(0.07%→0.06%)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0.03%)은 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3%→-0.04%), 세종(-0.08%→-0.04%), 8개도(-0.01%→-0.01%))
시도별로는
경기(0.02%), 울산(0.01%), 충북(0.01%)은 상승,
인천(0.00%), 전북(0.00%), 전남(0.00%)은 보합,
대구(-0.08%), 제주(-0.05%), 부산(-0.05%), 충남(-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3→82개)은 감소,
보합 지역(8→11개) 및 하락 지역(77→85개)은 증가
[수도권 : 0.03%]
서울 0.06% 상승, 인천 0.00% 보합, 경기 0.02% 상승
[서울 : 0.07% → 0.06%]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는 상승거래 신고 등 수요가 꾸준하나,
그 외 단지는 대출규제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으로 거래가 정체되는 등
혼조세를 보이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5%)
중구(0.10%)는 신당·흥인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용산구(0.10%)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종로구(0.09%)는 명륜2가‧무악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성동구(0.09%)는 성수·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진구(0.09%)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7%)
강남구(0.19%)는 압구정‧청담동 위주로,
서초구(0.11%)는 잠원·반포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양천구(0.06%)는 목‧신월동 위주로,
영등포구(0.06%)는 당산동4가·문래동3가 등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02% → 0.00%]
서구(0.08%)는 정주여건 양호한 가정·청라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갈산·산곡동 등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남동구(-0.05%)는 만수·간석동 구축 위주로,
연수구(-0.04%)는 연수·동춘동 구도심 위주로,
동구(-0.02%)는 송림·화수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상승에서 보합 전환
[경기 : 0.04% → 0.02%]
이천시(-0.14%)는 증포동·부발읍 구축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0%)는 일산·주엽동 위주로,
광주시(-0.07%)는 양벌동·초월읍 위주로 하락했으나,
안양 만안구(0.14%)는 안양·석수동 위주로,
부천 원미구(0.14%)는 역곡·중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중원구(0.13%)는 은행·상대원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
[지방 : -0.03%]
5대광역시 0.04% 하락, 세종 0.04%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0.03% → -0.04%]
(대구 : -0.06% → -0.08%)
달서구(-0.13%)는 용산·도원동 대단지 위주로,
달성군(-0.12%)은 화원·다사읍 위주로,
남구(-0.12%)는 봉덕·이천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0%)는 지산·범물동 위주로 하락
(부산 : -0.04% → -0.05%)
사상구(-0.14%)는 주례·엄궁동 소형 규모 위주로,
해운대구(-0.09%)는 재송·중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동구(-0.08%)는 초량·수정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8% → -0.04%]
지역별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나성·보람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 축소
[8개도 : -0.01% → -0.01%]
(제주 : -0.04% → -0.05%)
서귀포시(-0.06%)는 중문·동홍동 구축 위주로,
제주시(-0.05%)는 일도이·이도이동 위주로 하락
(지난주 대비 %)
구 분 | 11.4(전기) | 11.11(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1 | 0.01 | 상승폭 유지 | ||
2 | 전북 | 0.03 | 0.00 | 상승에서 보합 전환 | ||
3 | 전남 | -0.01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
4 | 경북 | -0.07 | -0.01 | 하락폭 축소 | ||
5 | 경남 | 0.01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6 | 강원 | -0.01 | -0.03 | 하락폭 확대 | ||
7 | 충남 | 0.00 | -0.03 | 보합에서 하락 전환 | ||
8 | 제주 | -0.04 | -0.05 | 하락폭 확대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7%→0.07%)은 상승폭 유지,
서울(0.06%→0.05%)은 상승폭 축소,
지방(0.01%→0.01%)은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5대광역시(0.01%→0.01%), 세종(0.04%→0.01%), 8개도(0.01%→0.01%))
시도별로는
인천(0.11%), 경기(0.07%), 광주(0.04%), 울산(0.04%), 충북(0.04%) 등은 상승,
강원(0.00%)은 보합,
제주(-0.04%), 대구(-0.04%), 대전(-0.03%), 전남(-0.01%)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2→120개)은 감소,
보합 지역(6→8개)은 증가, 하락 지역(50→50개)은 유지
[수도권 : 0.07%]
서울 0.05% 상승, 인천 0.11% 상승, 경기 0.07% 상승
[서울 : 0.06% → 0.05%]
선호단지의 임차수요 꾸준하여 전세가격 상승 지속되고 있으나,
시중 대출금리 인상 영향과 일부 단지에서 하락거래 발생 등으로
서울 전체 전주 대비 상승폭 소폭 축소
(강북 14개구 : 0.06%)
노원구(0.13%)는 중계·월계동 역세권 위주로,
중구(0.07%)는 신당·흥인동 위주로,
용산구(0.07%)는 이촌·문배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06%)는 이문·장안동 위주로,
중랑구(0.05%)는 신내‧면목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4%)
강남구(0.14%)는 개포·대치동 학군지 위주로,
영등포구(0.12%)는 신길·여의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양천구(0.08%)는 신월·목동 위주로,
강서구(0.08%)는 염창·등촌동 역세권 위주로,
관악구(0.07%)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14% → 0.11%]
부평구(0.17%)는 부개‧십정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서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당하·청라동 위주로,
계양구(0.10%)는 작전·효성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09%)는 연수‧동춘동 역세권 위주로,
미추홀구(0.06%)는 숭의·주안동 위주로 상승
[경기 : 0.06% → 0.07%]
이천시(-0.19%)는 공급물량 영향 등으로 부발읍 및 증포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0%)는 야탑·이매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수정구(0.22%)는 신흥·창곡동 교통환경 양호한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22%)는 일산·대화동 학군지 위주로 상승
[지방 : 0.01%]
5대광역시 0.01% 상승, 세종 0.01% 상승, 8개도 0.01% 상승
[5대광역시 : 0.01% → 0.01%]
(광주 : 0.04% → 0.04%)
서구(-0.01%)는 치평‧풍암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남구(0.10%)는 주월‧백운동 위주로,
동구(0.09%)는 정주여건 양호한 산수‧용산동 위주로 상승
(울산 : 0.05% → 0.04%)
중구(0.06%)는 우정‧태화동 준신축 위주로,
북구(0.05%)는 중산‧매곡동 위주로,
남구(0.04%)는 신정‧달동 위주로,
동구(0.02%)는 전하‧화정동 위주로 상승
[세종 : 0.04% → 0.01%]
상승‧하락 혼조한 가운데, 정주여건 양호한 도담‧소담동 위주로 상승
[8개도 : 0.01% → 0.01%]
(충북 : 0.01% → 0.04%)
음성군(0.10%)은 금왕‧음성읍 위주로,
제천시(0.07%)는 공급부족 영향 보이며 천남‧신백동 위주로 상승
(지난주 대비 %)
구 분 | 11.4(전기) | 11.11(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1 | 0.04 | 상승폭 확대 | ||
2 | 경남 | 0.05 | 0.03 | 상승폭 축소 | ||
3 | 경북 | 0.01 | 0.02 | 상승폭 확대 | ||
4 | 전북 | 0.03 | 0.01 | 상승폭 축소 | ||
5 | 강원 | -0.02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
6 | 충남 | 0.01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
7 | 전남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
8 | 제주 | -0.05 | -0.04 | 하락폭 축소 |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4년 | ||||||
‘23년 | ‘24년 | 10.7 | 10.14 | 10.21 | 10.28 | 11.4 | 11.11 | |
전 국 | -4.98 | 0.14 | 0.01 | 0.02 | 0.02 | 0.01 | 0.01 | 0.00 |
수도권 | -4.74 | 1.87 | 0.06 | 0.07 | 0.05 | 0.05 | 0.05 | 0.03 |
지 방 | -5.22 | -1.49 | -0.02 | -0.03 | -0.02 | -0.03 | -0.02 | -0.03 |
서 울 | -2.31 | 4.31 | 0.10 | 0.11 | 0.09 | 0.08 | 0.07 | 0.06 |
경 기 | -6.07 | 0.56 | 0.04 | 0.06 | 0.04 | 0.05 | 0.04 | 0.02 |
인 천 | -4.81 | 1.72 | 0.02 | 0.06 | 0.06 | 0.01 | 0.02 | 0.00 |
부 산 | -8.28 | -2.45 | -0.03 | -0.07 | -0.05 | -0.05 | -0.04 | -0.05 |
대 구 | -8.23 | -4.20 | -0.11 | -0.11 | -0.05 | -0.06 | -0.06 | -0.08 |
광 주 | -5.36 | -1.20 | -0.04 | -0.03 | -0.02 | -0.03 | -0.03 | -0.02 |
대 전 | -5.16 | -1.02 | -0.02 | -0.02 | -0.02 | -0.02 | -0.01 | -0.02 |
울 산 | -5.58 | -0.25 | 0.01 | 0.00 | 0.02 | 0.02 | 0.02 | 0.01 |
세 종 | -4.84 | -6.05 | -0.07 | -0.08 | -0.01 | -0.08 | -0.08 | -0.04 |
강 원 | -1.76 | 0.53 | -0.03 | -0.01 | -0.01 | -0.05 | -0.01 | -0.03 |
충 북 | -2.56 | -0.31 | 0.03 | -0.02 | 0.01 | -0.02 | 0.01 | 0.01 |
충 남 | -3.75 | -1.20 | -0.02 | 0.00 | -0.01 | 0.01 | 0.00 | -0.03 |
전 북 | -3.83 | 0.53 | 0.06 | 0.05 | 0.00 | -0.02 | 0.03 | 0.00 |
전 남 | -5.45 | -0.77 | 0.00 | -0.02 | -0.01 | -0.02 | -0.01 | 0.00 |
경 북 | -2.14 | -0.83 | -0.05 | -0.03 | -0.02 | -0.04 | -0.07 | -0.01 |
경 남 | -5.04 | -1.33 | 0.01 | -0.01 | 0.00 | 0.01 | 0.01 | -0.01 |
제 주 | -4.53 | -2.13 | -0.02 | -0.04 | -0.03 | -0.03 | -0.04 | -0.05 |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년 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4년 | ||||||
‘23년 | ‘24년 | 10.7 | 10.14 | 10.21 | 10.28 | 11.4 | 11.11 | |
전 국 | -7.79 | 1.89 | 0.05 | 0.06 | 0.05 | 0.05 | 0.04 | 0.04 |
수도권 | -8.76 | 4.50 | 0.10 | 0.12 | 0.10 | 0.09 | 0.07 | 0.07 |
지 방 | -6.86 | -0.57 | 0.00 | 0.01 | 0.01 | 0.00 | 0.01 | 0.01 |
서 울 | -8.22 | 5.07 | 0.10 | 0.10 | 0.09 | 0.08 | 0.06 | 0.05 |
경 기 | -8.93 | 3.61 | 0.08 | 0.11 | 0.07 | 0.08 | 0.06 | 0.07 |
인 천 | -9.40 | 7.08 | 0.20 | 0.26 | 0.22 | 0.16 | 0.14 | 0.11 |
부 산 | -10.37 | 0.16 | 0.02 | 0.04 | 0.04 | 0.02 | 0.03 | 0.03 |
대 구 | -12.64 | -3.39 | -0.05 | -0.09 | -0.03 | -0.05 | -0.04 | -0.04 |
광 주 | -5.27 | -0.18 | -0.01 | 0.01 | 0.02 | 0.02 | 0.04 | 0.04 |
대 전 | -5.99 | -0.20 | -0.01 | -0.02 | -0.03 | -0.02 | -0.02 | -0.03 |
울 산 | -10.44 | 1.50 | 0.04 | 0.04 | 0.04 | 0.04 | 0.05 | 0.04 |
세 종 | -4.67 | -5.28 | -0.03 | 0.00 | 0.02 | 0.10 | 0.04 | 0.01 |
강 원 | -1.92 | 1.13 | 0.01 | 0.02 | -0.03 | 0.02 | -0.02 | 0.00 |
충 북 | -3.47 | 0.52 | 0.05 | 0.02 | 0.02 | 0.00 | 0.01 | 0.04 |
충 남 | -5.74 | -0.51 | 0.00 | -0.01 | -0.03 | 0.00 | 0.01 | -0.01 |
전 북 | -4.84 | 1.26 | 0.04 | 0.02 | 0.03 | 0.03 | 0.03 | 0.01 |
전 남 | -5.52 | -0.10 | 0.00 | 0.00 | -0.01 | -0.02 | -0.01 | -0.01 |
경 북 | -3.75 | -1.66 | -0.03 | 0.00 | 0.01 | -0.03 | 0.01 | 0.02 |
경 남 | -5.87 | -0.92 | 0.02 | 0.05 | 0.05 | 0.03 | 0.05 | 0.03 |
제 주 | -4.56 | -1.46 | -0.04 | -0.04 | -0.02 | -0.02 | -0.05 | -0.04 |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년 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4년 11월 2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매매가격은 지난주까지 소폭 상승하다 금주에는 보합까지 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 기준금리는 하락하지만,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매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전국적으로 전세가격이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분간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공시 (264) | 2024.11.19 |
---|---|
2025년 연말정산 방법 및 절세 꿀팁(13월의 월급) (266) | 2024.11.18 |
금연보조제 올바른 사용방법(Ft. 허가된 금연보조제) (246) | 2024.11.14 |
디딤돌대출 최대 5,000만원 한도 축소(규제 및 조건 총 정리) (254) | 2024.11.13 |
수도권 신규택지 5만호 공급 위치(그린벨트 해제 지역) (259)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