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휴대폰 명의도용 확인 및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신청 방법

by Edward_S 2023. 10.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명의를 도용한 휴대폰 불법 이용을 쉽고 간편하게 방지

에 대한 내용인데요.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홈페이지
www.msafer.or.kr

 

모바일로 실시간 내 명의의 휴대전화 현황 확인, 신규가입 등 사전 차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SKT, KT, LGU+와 함께 PASS을 통해 내 명의로 휴대폰이 불법 개통되는 것을 방지(‘명의도용방지’)하고,

내 휴대전화번호가 인터넷에서 불법문자 발송에 악용되는 것을

즉시 차단(‘번호도용 문자차단’)하도록 개선하였습니다.

 

 

PASS앱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에서 대량으로 불법 문자 발송에 악용되는 것 즉시 차단

 

과기정통부는 보이스피싱 통신분야 대책(‘22.9) 마련 후,

이통사·제조사 긴밀히 협력하여 공공기관이 보낸 정상적인 문자

쉽게 확인할수 있는 서비스(안심마크), 국제전화 수신 시 음성으로 국제전화임을 알려주는 서비스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제도적 조치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스마트폰의 일상화, 교묘화되는 범죄수법 등에 지속 대응하여,

휴대전화 불법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현장 필요성에 따라

이통3, KAIT, KISA 등이 힘을 모은 사례인데요.

 

 

우선, 이번 서비스 개선에 따라 국민 누구나 PASS 설치·가입한 후 23.10.25()부터

모바일을 통해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개통 현황을 실시간 확인(가입사실현황조회 서비스)하고,

현재 사용 중인 휴대전화 이외의 신규 가입·명의변경 등 사전에 차단(가입제한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PASS앱 미가입자는 PC에서 www.msafer.or.kr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 이용 가능

 

 

이는 기존 PC에서만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이용이 가능했던 불편함 해소하여

이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개선한 것으로,

카카오뱅크에서도 11월부터 동일 서비스를 제할 수 있게 준비 중이며,

향후 서비스 안정화와 모니터링을 거쳐 주요 은행과 카드사 등에 서비스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또한, 도박·대출 등 대부분의 불법문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대량 발송(WEB표시 문자)되고 있어,

이용자의 휴대전화 번호가 인터넷 불법문자 발송에 도용되는 것을

사전에 즉시 차단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합니다.

 

 

이통3사와 KISA번호도용문자 차단서비스를 부가서비스 형태로 무료 제공고 있으며,

시스템 개선을 통해 이용자가 번호도용 차단 서비스*신청 즉시 번호도용 차단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며,

차단서비스 이용률 제고를 위해 홍보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용자는 본인이 가입한 통신사 홈페이지 등에서 직접 신청이 가능하며,

기업 고객은 문자 발송 차단 관리 서비스(https://sms.anti-phishing.or.kr, KISA운영)에서 가능

 

(SKT 이용자) Tworld 무료 부가서비스 번호도용문자 차단

 

(KT 이용자) KT.com 부가서비스 추가 신청 무료 번호도용 문자차단

 

(LGU+ 이용자) lguplus.com 부가서비스 무료 번호도용문자 차단

 

(알뜰폰 이용자) 알뜰폰 홈페이지(고객센터)

 

 

과기정통부는 해당 서비스들을 통해 국민들이 편리하면서도

동시에 안전한 통신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이통사, 관련 협회 등 민관과 협력하여 통신서비스 부정 이용으로 인한

국민 피해 예방하고 보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상으로 휴대폰 명의도용방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평소 대출 및 투자 문자가 오거나

 

피싱 관련 전화나 문자가 자주 온다면

 

위 서비스를 신청하시어 차단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