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K-패스, 2025년부터 다자녀 가구 등 혜택 확대
에 대한 내용인데요.
다자녀 가구 유형에 대하여 환급률 상향
2자녀30%, 3자녀 이상50%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K-패스의 혜택을 확대해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더욱 완화합니다.
이를 위해 ’25년부터 K-패스에 다자녀 가구 유형을 신설하고,
참여 지자체 및 카드사도 추가합니다.
K-패스는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60회(일 최대 2회)**까지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 시내버스, 광역버스,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등
** 하루 중 이용금액 중 높은 금액 순으로 2건에 대해 환급,
다만, 경기·인천·경남 등 60회 초과 이용분까지 지원해주는
지자체의 경우 1일 2회 초과분도 환급 예정
작년 5월부터 시행한 K-패스는 국민들의 높은 호응에 힘입어
’24년말 기준 약 265만명이 이용 중입니다.
’25년부터 기존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더하여 K-패스 내
‘다자녀 가구’ 유형을 신설, 별도의 환급률을 적용하여 혜택을 확대합니다.
다자녀 가구 유형에 해당하는 자는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성인(부모만 해당)입니다.
다자녀 유형의 환급률은 자녀가 2명인 경우 30%,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50%로,
일반층 대비 각각 10%p, 30%p 높은 환급률이 적용*됩니다.
* 자녀가 3명 이상인 이용자 A씨(만 40세)가
요금 1,500원인 대중교통 60회를 탑승할 경우,
다자녀 유형 신설 전후 27,000원 추가 환급 가능
K-패스 | 유형 정의 | 적립률 | 예) 2,000원 기준 |
일반 | 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이용자 | 20% | 400원 |
청년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34세 | 30% | 600원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53.3% | 1,070원 |
다자녀(2자녀) |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이 이하인 성인 |
30% | 600원 |
다자녀(3자녀) | 50% | 1,000원 | |
비고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최대 60회(일 최대 2회)까지 환급 복수의 유형에 해당할 경우, 높은 환급률 적용 |
다자녀 가구 유형에 해당하는 이용자는 K-패스 앱· 누리집 등의
“My 메뉴 – 다자녀 정보”에서 실시간 검증*으로
해당 유형임을 인증한 뒤 환급률 상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주민등록번호 입력을 통한 비대면자격조회 서비스로,
주민등록상의 세대원을 기준으로 자녀수를 확인
단, 세대주가 아니거나 부모와 자녀의 주소지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여
실시간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별도의 증빙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록을 통해 다자녀 가구 유형을 인증할 수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 유형의 환급률은 실시간 검증이 완료되거나,
증빙 서류가 최종 확인된 시점부터 적용됩니다.
한편, ’25년부터 K-패스 참여 지자체는 기존 189개 기초 지자체에서
21개 지자체(김제, 문경, 속초 등)가 추가 참여하여 210개 기초 지자체*로 확대됩니다.
* 전남 7개, 경북 9개, 강원 3개 등 19개 기초 지자체 제외 전 지자체 참여 예정
또한, K패스-경기(The경기패스), K패스-인천(인천I-패스) 등에 이어
광주광역시, 경상남도도 ’25년 1월부터 지자체 맞춤형 K-패스*를 시행하여 지역별 혜택을 확대합니다.
* 각 지자체별 특성에 맞게 기존 K-패스에 혜택을 추가하는 사업(추가 재원은 각 지자체 부담)
K-패스 참여 카드사도 기존 11개 카드사에서 13개 카드사*로 확대되어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도 5종 추가될(27종 → 32종) 예정입니다.
* (기존)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BC바로, 케이뱅크, 기업, 광주),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모바일이즐, 카카오페이),
DGB유페이 + 롯데, 레일플러스, BC(IM뱅크), KB국민(카카오뱅크), 이즐(네이버페이)
⭕ 지자체 맞춤형 K-패스 추진 관련 현황
(경기·인천)
K-패스를 이용하는 경기도민·인천시민에게 환급률 상향*,
월 60회 제한 폐지 등 추가 혜택 제공(’24.5~)
* (경기·인천) 35~39세도 청년으로 인정 +10%p(총 30%) / (인천) 65세 이상 +10%p(총 30%)
(부산)
동백패스* 이용자가 K-패스 가입 시 동백패스와 K-패스의 혜택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둘 중 더 큰 금액으로 환급(’24.8~)
* ’23.8월부터 시행 중인 부산시 자체 사업으로서,
’24.6월 기준 45만명 이상 이용 중(부산 대중교통 이용금액 월4.5만원 초과 시
초과금액을 최대 4.5만원까지 지역화폐로 환급)
이용 횟수 |
이용 금액 (a) |
일반 | 청년 | 저소득 | |||
K패스 (a)×0.2 |
동백패스 (a)-4.5만원 |
K패스 (a)×0.3 |
동백패스 (a)-4.5만원 | K패스 (a)×0.53 |
동백패스 (a)-4.5만원 |
||
36 | 55,800 | 11,160 | 10,800 | 16,740 | 10,800 | 29,574 | 10,800 |
37 | 57,350 | 11,470 | 12,350 | 17,210 | 12,350 | 30,396 | 12,350 |
※ 부산 시내버스 요금 1,550원 기준 적용 예시
(세종)
月2만원 선결제 시 충청권 대중교통 5만원까지 무료 이용 혜택,
5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K-패스 혜택(20~53%)만 적용(’24.9~)
(광주)
K-패스를 이용하는 광주시민 대상 청년 범위 확대,
저소득층 환급률 상향* 등 추가 혜택 제공(’25.1월~)
* 청년 범위 39세까지, 65세이상 +30%p(⇒총50%), 저소득층 +11%p(⇒총64%)
(경남)
K-패스를 이용하는 경남도민 대상 청년 범위 확대, 저소득층 환급률 상향,
월 60회 제한폐지 등 추가 혜택 제공(‘25.1월~)
* 월61회~무제한 지원, 청년 범위 39세까지, 저소득층 +47%p(⇒총100%),
75세이상 어르신 최소횟수 제한 폐지(월 1회 이상 이용시)·추가 혜택 +80%p(⇒총100%)
구분 | K-패스 | The경기패스 | 인천I-패스 | 동백패스 | 이응패스 | 광주G패스 | 경남패스 | |
지원 대상 |
일반 | 20% | 좌동 | |||||
청년 | 30% | 좌동 | ||||||
저소득 | 53% | 좌동 | 64% | 100% | ||||
추가 | - | 청년 19~34세→39세까지 | 혜택 비교 후 큰 금액 지원 |
5만원까지 실부담 2만원 효과 |
청년 19~34세 →39세까지 |
|||
- | 65세↑30% | 65세↑50% | 75세↑100% | |||||
횟수 | 최소 | 15회 | 15회 | 금액기반 | 15회 | 15회 | ||
최대 | 60회 | + 61회~무제한 | 60회 | 무제한 | ||||
재원 | 국비·지방비 | 추가 혜택은 전액 지자체 재원 기반 |
이상으로 올해부터 K-패스 최대 50%까지 환급 가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아직 K-패스에 가입 안하신 분들은 가입하시면 교통비를 절약하실 수 있으며,
다자녀이신 분들은 추가로 가입 신청을 하셔야 50% 할인 적용이 되니
빨리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길 바랄게요~!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및 은행별 금리 비교 (168) | 2025.01.20 |
---|---|
2024년 전국 오피스텔 가격 동향(매매 & 전세 & 월세) (253) | 2025.01.17 |
2025년 기초연금 지급대상 및 지급금액(연금 인상) (193) | 2025.01.13 |
2025년 1월 1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241) | 2025.01.10 |
2025년부터 달라지는 금융 제도 총 정리 (207)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