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년 4월 2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4월 2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수도권(0.01%→0.02%)은 상승폭 확대,
서울(0.08%→0.08%)은 상승폭 유지,
지방(-0.05%→-0.04%)은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6%→-0.06%), 세종(-0.07%→0.04%), 8개도(-0.05%→-0.03%))
시도별로는
울산(0.02%) 등은 상승,
충북(0.00%), 전북(0.00%)은 보합,
대구(-0.12%), 광주(-0.09%), 경북(-0.07%), 전남(-0.05%),
부산(-0.05%), 대전(-0.04%), 제주(-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1→67개)은 증가,
보합 지역(10→8개) 및 하락 지역(107→103개)은 감소
[수도권 : 0.02%]
서울 0.08% 상승, 인천 0.01% 하락, 경기 0.01% 하락
[서울 : 0.08% → 0.08%]
재건축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도 희망가격 상승하고, 상승거래 체결되고 있으나,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6%)
중랑구(-0.02%)는 면목·신내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동구(0.23%)는 금호·응봉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산구(0.14%)는 이촌동·한강로 위주로,
마포구(0.13%)는 아현·공덕동 위주로,
종로구(0.12%)는 홍파·무악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10%)
동작구(0.16%)는 흑석·상도동 준신축 위주로,
서초구(0.16%)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강남구(0.16%)는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양천구(0.13%)는 목·신정동 위주로,
영등포구(0.12%)는 당산·신길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2% → -0.01%]
미추홀구(0.06%)는 관교·주안동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05%)는 부평·십정동 교통여건 양호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구(-0.11%)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동춘·송도동 위주로,
남동구(-0.08%)는 서창·만수동 구축 위주로,
계양구(-0.01%)는 효성·병방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1% → -0.01%]
과천시(0.35%)는 부림·중앙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20%)는 신흥·창곡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3%)는 이매·정자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평택시(-0.16%)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세교·서정동 위주로,
안성시(-0.15%)는 공도읍·대덕면 위주로,
김포시(-0.13%)는 장기·북변동 위주로 하락
[지방 : -0.04%]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04% 상승,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6% → -0.06%]
(대구 : -0.09% → -0.12%)
달서구(-0.16%)는 도원·본리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6%)는 매호·범물·신매동 위주로,
남구(-0.13%)는 이천·대명동 구축 위주로 하락
(광주 : -0.10% → -0.09%)
남구(-0.13%)는 봉선·백운동 구축 위주로,
서구(-0.13%)는 화정·금호동 대단지 위주로,
동구(-0.13%)는 용산·계림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7% → 0.04%]
다정·새롬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세종 전체 상승 전환
[8개도 : -0.05% → -0.03%]
(경북 : -0.07% → -0.07%)
포항 남구(-0.19%)는 오천·연일읍 위주로,
구미시(-0.15%)는 진평·구평동 구축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 4.7(전기) | 4.14(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2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
2 | 전북 | -0.05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
3 | 경남 | -0.03 | -0.01 | 하락폭 축소 | ||
4 | 강원 | -0.03 | -0.02 | 하락폭 축소 | ||
5 | 충남 | -0.06 | -0.03 | 하락폭 축소 | ||
6 | 제주 | -0.05 | -0.03 | 하락폭 축소 | ||
7 | 전남 | -0.06 | -0.05 | 하락폭 축소 | ||
8 | 경북 | -0.07 | -0.07 | 하락폭 유지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0%) 보합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2%→0.02%) 및 서울(0.02%→0.02%)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1%)은 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2%→-0.01%), 세종(-0.08%→0.05%), 8개도(-0.02%→-0.02%))
시도별로는
울산(0.09%), 충북(0.03%), 경기(0.02%), 부산(0.01%), 경남(0.01%) 등은 상승,
인천(0.00%)은 보합,
강원(-0.09%), 대전(-0.07%), 대구(-0.07%), 제주(-0.04%), 전남(-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4→87개) 및
보합 지역(13→18개)은 증가, 하락 지역(81→73개)은 감소
[수도권 : 0.02%]
서울 0.02% 상승, 인천 0.00% 보합, 경기 0.02% 상승
[서울 : 0.02% → 0.02%]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대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꾸준하고,
일부 매물부족 현상 나타나며 전세가격 상승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1%)
성북구(-0.05%)는 정릉·길음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진구(0.05%)는 자양·구의동 선호단지 위주로,
용산구(0.04%)는 이촌·문배동 위주로,
서대문구(0.04%)는 홍제·남가좌동 역세권 위주로,
중랑구(0.03%)는 망우·신내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3%)
서초구(-0.03%)는 잠원·방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동작구(0.14%)는 흑석·상도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07%)는 암사·명일동 대단지 위주로,
강서구(0.06%)는 가양·염창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인천 : 0.00% → 0.00%]
연수구(-0.10%)는 입주 물량 영향있는 송도동 위주로,
서구(-0.06%)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남동구(0.14%)는 만수·구월동 역세권 위주로,
계양구(0.04%)는 작전·계산동 소형 규모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주안·용현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전체 보합 지속
[경기 : 0.01% → 0.02%]
광명시(-0.11%)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이천시(-0.07%)는 부발읍·증포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34%)는 재건축 이주 영향있는 중앙·원문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19%)는 창곡·신흥동 역세권 위주로,
안양 동안구(0.14%)는 비산·관양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1%]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05% 상승, 8개도 0.02% 하락
[5대광역시 : -0.02% → -0.01%]
(울산 : 0.05% → 0.09%)
남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달·옥동 위주로,
중구(0.09%)는 반구·약사·태화동 준신축 위주로,
북구(0.07%)는 중산·매곡·송정동 위주로 상승
(대전 : -0.07% → -0.07%)
중구(-0.17%)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선화·문화·유천·오류동 위주로,
동구(-0.11%)는 판암·가양·대동 구축 위주로,
유성구(-0.08%)는 지족·상대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8% → 0.05%]
고운·다정동 위주로 상승하며, 세종 전체 상승 전환
[8개도 : -0.02% → -0.02%]
(강원 : 0.00% → -0.09%)
속초시(-0.31%)는 교·조양동 구축 위주로,
강릉시(-0.14%)는 매물 적체되는 교·초당동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 4.7(전기) | 4.14(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1 | 0.03 | 상승폭 확대 | ||
2 | 경남 | 0.00 | 0.01 | 보합에서 상승 전환 | ||
3 | 경북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
4 | 전북 | -0.06 | -0.02 | 하락폭 축소 | ||
5 | 충남 | -0.04 | -0.03 | 하락폭 축소 | ||
6 | 전남 | -0.01 | -0.03 | 하락폭 확대 | ||
7 | 제주 | -0.04 | -0.04 | 하락폭 유지 | ||
8 | 강원 | 0.00 | -0.09 | 보합에서 하락 전환 |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5년 | ||||||
‘24년 | ‘25년 | 3.10 | 3.17 | 3.24 | 3.31 | 4.7 | 4.14 | |
전 국 | -0.66 | -0.29 | 0.00 | 0.02 | -0.01 | -0.01 | -0.02 | -0.01 |
수도권 | -0.62 | 0.10 | 0.05 | 0.07 | 0.03 | 0.03 | 0.01 | 0.02 |
지 방 | -0.69 | -0.68 | -0.05 | -0.04 | -0.04 | -0.05 | -0.05 | -0.04 |
서 울 | -0.30 | 1.18 | 0.20 | 0.25 | 0.11 | 0.11 | 0.08 | 0.08 |
경 기 | -0.85 | -0.31 | 0.00 | 0.00 | 0.00 | 0.00 | -0.01 | -0.01 |
인 천 | -0.34 | -0.70 | -0.05 | -0.06 | -0.07 | -0.03 | -0.02 | -0.01 |
부 산 | -1.13 | -0.81 | -0.08 | -0.04 | -0.04 | -0.06 | -0.06 | -0.05 |
대 구 | -1.53 | -1.69 | -0.10 | -0.09 | -0.13 | -0.09 | -0.09 | -0.12 |
광 주 | -0.41 | -0.78 | -0.05 | -0.07 | -0.06 | -0.07 | -0.10 | -0.09 |
대 전 | -0.28 | -0.69 | -0.05 | -0.06 | -0.05 | -0.07 | -0.04 | -0.04 |
울 산 | -0.23 | 0.11 | 0.00 | 0.02 | 0.01 | 0.00 | 0.01 | 0.02 |
세 종 | -3.08 | -1.07 | -0.14 | -0.09 | -0.02 | -0.07 | -0.07 | 0.04 |
강 원 | 0.17 | -0.36 | -0.04 | 0.00 | -0.04 | -0.01 | -0.03 | -0.02 |
충 북 | -0.29 | -0.17 | -0.01 | 0.01 | -0.04 | 0.01 | -0.02 | 0.00 |
충 남 | -0.88 | -0.59 | -0.07 | -0.04 | -0.04 | -0.03 | -0.06 | -0.03 |
전 북 | -0.38 | -0.03 | 0.03 | 0.03 | 0.02 | 0.00 | -0.05 | 0.00 |
전 남 | -0.33 | -0.56 | -0.04 | -0.03 | -0.02 | -0.01 | -0.06 | -0.05 |
경 북 | -0.21 | -0.78 | -0.05 | -0.06 | -0.02 | -0.07 | -0.07 | -0.07 |
경 남 | -0.63 | -0.55 | -0.03 | -0.03 | -0.05 | -0.05 | -0.03 | -0.01 |
제 주 | -0.77 | -0.70 | -0.06 | -0.05 | -0.06 | -0.06 | -0.05 | -0.03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5년 | ||||||
‘24년 | ‘25년 | 3.10 | 3.17 | 3.24 | 3.31 | 4.7 | 4.14 | |
전 국 | 0.29 | 0.03 | 0.01 | 0.01 | 0.02 | 0.02 | 0.00 | 0.00 |
수도권 | 0.91 | 0.19 | 0.03 | 0.04 | 0.04 | 0.04 | 0.02 | 0.02 |
지 방 | -0.31 | -0.12 | -0.01 | -0.02 | -0.01 | 0.00 | -0.02 | -0.01 |
서 울 | 1.00 | 0.36 | 0.05 | 0.07 | 0.06 | 0.05 | 0.02 | 0.02 |
경 기 | 0.76 | 0.19 | 0.02 | 0.03 | 0.04 | 0.03 | 0.01 | 0.02 |
인 천 | 1.39 | -0.26 | 0.01 | 0.00 | 0.00 | 0.01 | 0.00 | 0.00 |
부 산 | -0.39 | 0.34 | 0.03 | 0.02 | 0.03 | 0.01 | 0.00 | 0.01 |
대 구 | -1.34 | -0.95 | -0.07 | -0.09 | -0.06 | -0.02 | -0.05 | -0.07 |
광 주 | -0.17 | 0.18 | 0.00 | 0.01 | 0.00 | -0.01 | -0.03 | -0.01 |
대 전 | 0.74 | -0.75 | -0.05 | -0.10 | -0.06 | -0.07 | -0.07 | -0.07 |
울 산 | 0.39 | 0.85 | 0.07 | 0.06 | 0.07 | 0.09 | 0.05 | 0.09 |
세 종 | -2.99 | -0.31 | -0.09 | -0.07 | 0.03 | 0.03 | -0.08 | 0.05 |
강 원 | 0.15 | -0.12 | 0.07 | 0.04 | -0.02 | 0.02 | 0.00 | -0.09 |
충 북 | 0.38 | 0.29 | 0.07 | 0.03 | -0.01 | 0.00 | 0.01 | 0.03 |
충 남 | -0.49 | -0.36 | -0.05 | -0.04 | -0.01 | 0.00 | -0.04 | -0.03 |
전 북 | 0.67 | -0.26 | -0.02 | 0.00 | 0.01 | 0.01 | -0.06 | -0.02 |
전 남 | -0.06 | -0.12 | -0.03 | 0.02 | 0.02 | 0.01 | -0.01 | -0.03 |
경 북 | -0.68 | -0.23 | -0.02 | -0.04 | -0.03 | 0.00 | -0.01 | -0.01 |
경 남 | -0.45 | -0.03 | 0.00 | -0.01 | -0.01 | 0.00 | 0.00 | 0.01 |
제 주 | -0.34 | -0.62 | -0.07 | -0.05 | -0.06 | -0.05 | -0.04 | -0.04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4월 2주차 전국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매매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전국이 소폭 하락 중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지방의 몇몇 지역에서는 매매가격 상승도 일어나고는 있지만, 입지, 세대수 등
특정 동네에서만 가격 상승이 일어나고 있어 지역 내 양극화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예금상품 비교 및 추천 (중개)서비스_온라인 뱅킹 (231) | 2025.04.22 |
---|---|
1주택자 부동산 재산세 완화 및 계산 방법(지방세법 개정) (229) | 2025.04.21 |
2025년 4월 1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353) | 2025.04.11 |
청년·고령자·중소기업 근로자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 신청 방법 (296) | 2025.04.10 |
2025 실손의료보험 개선안 총 정리(실비 보험 비교) (257)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