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3월 3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3. 21.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3 3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전국 매매 &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202533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2% 상승,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0%) 대비 상승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5%0.07%) 및 서울(0.20%0.25%) 확대,

지방(-0.05%-0.04%)하락폭 축소됐습니다.

 

(5대광역시(-0.07%-0.05%), 세종(-0.14%-0.09%), 8개도(-0.03%-0.02%))

 

 

 

시도별로는

전북(0.03%), 울산(0.02%), 충북(0.01%) 등은 상승,

경기(0.00%), 강원(0.00%)보합, 대구(-0.09%), 경북(-0.06%),

대전(-0.06%), 광주(-0.06%), 제주(-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169)은 증가,

보합 지역(119) 하락 지역(106100)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7%]

서울 0.25% 상승, 인천 0.06%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20% 0.25%]

 역세권·신축·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수문의 꾸준하고

가격상승 기대감으로 매도 희망가격 상승하는 가운데,

신고가 갱신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10%)

성동구(0.37%)는 행당옥수동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0.34%)는 한강로이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0.29%)염리아현동 신축 위주로,

광진구(0.25%)는 광장구의동 학군지 위주로,

서대문구(0.08%)는 남가좌북아현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39%)

강남구(0.83%)는 압구정대치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0.79%)는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69%)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양천구(0.32%)는 목신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강동구(0.28%)는 고덕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05% -0.06%]

서구(-0.17%)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연수구(-0.08%)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송도·동춘동 위주로,

계양구(-0.05%)는 효성·계산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03%)는 논현·서창동 위주로,

미추홀구(-0.01%)는 도화·학익동 구축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0.00%]

광명시(-0.14%) 입주물량 영향있는 하안·광명동 위주로,

안성시(-0.14%) 공도읍 위주로,

이천시(-0.12%)는 부발읍·대월면 구축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68%)는 재건축사업 진행중인 별양·부림동 위주로,

하남시(0.13%)는 교통접근성 양호한 감이·학암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

 

 

[지방 : -0.04%]

5대광역시 0.05% 하락, 세종 0.09% 하락, 8개도 0.02% 하락

 

 

[5대광역시 : -0.07% -0.05%]

 

(대구 : -0.10% -0.09%)

북구(-0.20%)는 태전·산격동 구축 위주로,

(-0.18%)는 내당·평리동 대단지 위주로,

남구(-0.11%) 봉덕동 구축 위주로,

동구(-0.10%)는 신서·신천동 위주로 하락

 

(대전 : -0.05% -0.06%)

중구(-0.13%)는 오류·유천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동구(-0.11%)는 가양·판암동 위주로,

유성구(-0.06%)는 전민·관평·신성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세종 : -0.14% -0.09%]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고운·한솔동 구축 위주로 하락

 

 

[8개도 : -0.03% -0.02%]

 

(경북 : -0.05% -0.06%)

포항 북구(-0.15%)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흥해읍·환호동 위주로,

경산시(-0.12%)는 정평동·진량읍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10(전기) 3.17(당기) 비 고
1 전북 0.03 0.03 상승폭 유지
2 충북 -0.01 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
3 강원 -0.04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4 전남 -0.04 -0.03 하락폭 축소
5 경남 -0.03 -0.03 하락폭 유지
6 충남 -0.07 -0.04 하락폭 축소
7 제주 -0.06 -0.05 하락폭 축소
8 경북 -0.05 -0.06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3%0.04%) 및 서울(0.05%0.07%) 상승폭 확대,

지방(-0.01%-0.02%)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0%-0.02%), 세종(-0.09%-0.07%), 8개도(0.00%-0.01%))

 

 

시도별로는

울산(0.06%), 강원(0.04%), 경기(0.03%), 충북(0.03%) 등은 상승,

전북(0.00%), 인천(0.00%)보합,

대전(-0.10%), 대구(-0.09%), 제주(-0.05%), 경북(-0.04%)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6103)증가,

보합 지역(139) 하락 지역(6966)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4%]

서울 0.07% 상승, 인천 0.00% 보합, 경기 0.03% 상승

 

 

[서울 : 0.05% 0.07%]

일부 외곽지역 및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 하락했으나,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지속되고 매물부족 현상 나타나며,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4%)

동대문구(-0.04%)는 이문·휘경동 위주로,

성북구(-0.01%)는 하월곡·종암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진구(0.11%)는 구의·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09%)는 문배·도원동 위주로,

성동구(0.07%)는 하왕십리·행당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9%)

송파구(0.26%)는 신천·문정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강동구(0.14%)는 암사·고덕동 신축 위주로,

동작구(0.12%)대방·상도동 주요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1%)는 대림·여의도동 위주로,

강서구(0.07%)는 가양·등촌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인천 : 0.01% 0.00%]

미추홀구(0.09%)는 주안·용현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교통 여건 양호한 산곡·갈산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08%)는 청라·가정동 신도시 위주로,

중구(-0.03%)는 운서·운남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보합 전환

 

 

[경기 : 0.02% 0.03%]

광명시(-0.21%)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8%) 은행·여수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2%)는 재건축 이주 수요있는 별양·부림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20%)관양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17%)는 창곡·단대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지방 : -0.02%]

5대광역시 0.02% 하락, 세종 0.07%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0% -0.02%]

 

(대전 : -0.05% -0.10%)

중구(-0.18%)는 태평·중촌·목동 위주로,

동구(-0.15%)는 판암·용전동 구축 위주로,

유성구(-0.08%)는 지족·봉명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

 

(대구 : -0.07% -0.09%)

북구(-0.21%)는 태전·침산·동천동 구축 위주로,

남구(-0.21%)는 대명동 소형 규모 위주로,

수성구(-0.13%)는 범어동 준신축 및 지산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9% -0.07%]

지역별 혼조세 보이며, 새롬·도담·한솔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0% -0.01%]

 

(제주 : -0.07% -0.05%)

서귀포시(-0.07%)는 동홍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제주시(-0.04%)는 일도이·노형동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10(전기) 3.17(당기) 비 고
1 강원 0.07 0.04 상승폭 축소
2 충북 0.07 0.03 상승폭 축소
3 경남 -0.03 0.02 하락에서 상승 전환
4 전북 -0.02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5 경북 0.00 -0.01 보합에서 하락 전환
6 전남 -0.05 -0.04 하락폭 축소
7 충남 -0.02 -0.04 하락폭 확대
8 제주 -0.07 -0.05 하락폭 축소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10 2.17 2.24 3.3 3.10 3.17
전 국 -0.55 -0.24 -0.04 -0.03 -0.02 -0.01 0.00 0.02
수도권 -0.56 0.01 -0.03 -0.01 0.01 0.02 0.05 0.07
지 방 -0.53 -0.49 -0.05 -0.04 -0.05 -0.04 -0.05 -0.04
서 울 -0.36 0.80 0.02 0.06 0.11 0.14 0.20 0.25
경 기 -0.72 -0.29 -0.05 -0.04 -0.04 -0.04 0.00 0.00
인 천 -0.35 -0.58 -0.08 -0.06 -0.03 -0.03 -0.05 -0.06
부 산 -0.89 -0.59 -0.06 -0.06 -0.06 -0.05 -0.08 -0.04
대 구 -1.28 -1.26 -0.12 -0.09 -0.11 -0.10 -0.10 -0.09
광 주 -0.37 -0.46 -0.03 -0.05 -0.06 -0.04 -0.05 -0.06
대 전 -0.17 -0.49 -0.06 -0.05 -0.05 -0.04 -0.05 -0.06
울 산 -0.18 0.07 0.00 0.00 0.00 0.02 0.00 0.02
세 종 -1.99 -0.96 -0.12 -0.12 -0.08 -0.09 -0.14 -0.09
강 원 0.24 -0.26 -0.08 -0.02 0.01 0.01 -0.04 0.00
충 북 -0.20 -0.12 0.02 -0.02 -0.01 -0.02 -0.01 0.01
충 남 -0.70 -0.42 -0.04 -0.05 -0.01 -0.04 -0.07 -0.04
전 북 -0.25 0.01 -0.01 0.01 0.04 0.01 0.03 0.03
전 남 -0.27 -0.42 -0.04 -0.08 -0.04 -0.04 -0.04 -0.03
경 북 -0.24 -0.55 -0.06 -0.03 -0.10 -0.05 -0.05 -0.06
경 남 -0.45 -0.40 -0.04 -0.03 -0.04 -0.04 -0.03 -0.03
제 주 -0.58 -0.50 -0.05 -0.05 -0.03 -0.07 -0.06 -0.05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10 2.17 2.24 3.3 3.10 3.17
전 국 0.19 0.00 -0.01 0.00 0.00 0.01 0.01 0.01
수도권 0.62 0.08 0.00 0.01 0.01 0.02 0.03 0.04
지 방 -0.22 -0.08 -0.01 -0.01 0.00 0.00 -0.01 -0.02
서 울 0.73 0.21 0.02 0.02 0.03 0.03 0.05 0.07
경 기 0.53 0.08 0.00 0.01 0.01 0.02 0.02 0.03
인 천 0.72 -0.27 -0.07 -0.04 -0.04 0.00 0.01 0.00
부 산 -0.45 0.28 0.02 0.03 0.05 0.02 0.03 0.02
대 구 -1.00 -0.75 -0.09 -0.08 -0.03 -0.05 -0.07 -0.09
광 주 -0.18 0.23 0.02 0.03 0.03 0.03 0.00 0.01
대 전 0.70 -0.48 -0.05 -0.05 -0.04 -0.04 -0.05 -0.10
울 산 0.27 0.55 0.04 0.05 0.07 0.07 0.07 0.06
세 종 -2.05 -0.35 -0.02 -0.03 -0.01 0.02 -0.09 -0.07
강 원 0.19 -0.02 0.01 -0.01 -0.02 0.00 0.07 0.04
충 북 0.35 0.26 0.01 0.03 0.03 0.01 0.07 0.03
충 남 -0.32 -0.28 -0.01 -0.05 -0.02 -0.02 -0.05 -0.04
전 북 0.49 -0.21 -0.02 -0.01 -0.04 -0.03 -0.02 0.00
전 남 -0.05 -0.11 -0.01 -0.02 -0.03 -0.03 -0.03 0.02
경 북 -0.52 -0.18 -0.01 -0.04 -0.01 -0.01 -0.02 -0.04
경 남 -0.21 -0.02 -0.01 -0.02 -0.01 0.00 0.00 -0.01
제 주 -0.23 -0.44 -0.05 -0.05 -0.03 -0.05 -0.07 -0.05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3월 3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서울의 강남, 용산 등 집값 상승으로 전체 매매가격 상승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방은 하락 중이며, 서울에 국한된 점이 아쉬운 상황입니다.

 

 

또한, 전국 매물 물량 부족으로 전세 가격도 소폭 상승한 것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서울의 집값이 어떻게 변할지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부동산 정책이 나올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