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3월 5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4. 4.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3 5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아파트 매매 &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202535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하락, 전세가격은 0.02%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하락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3%0.03%) 및 서울(0.11%0.11%) 상승폭 유지,

지방(-0.04%-0.05%)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6%-0.06%), 세종(-0.02%-0.07%), 8개도(-0.03%-0.03%))

 

 

시도별로는

충북(0.01%) 등은 상승,

경기(0.00%), 울산(0.00%), 전북(0.00%)보합,

대구(-0.09%), 경북(-0.07%), 대전(-0.07%), 광주(-0.07%),

제주(-0.06%), 부산(-0.06%)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869)은 증가,

보합 지역(1110)은 감소, 하락 지역(9999)은 유지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3%]

서울 0.11% 상승, 인천 0.03%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11% 0.11%]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 대한 국지적 수요는 꾸준하나,

매수 관망심리 확대로 거래가 다소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등

시장분위기가 혼조세를 나타내며 지난주와 유사한 상승폭 유지

 

(강북 14개구 : 0.06%)

성동구(0.30%)는 금호응봉동 위주로,

용산구(0.20%) 한강로이촌동 위주로,

마포구(0.18%)는 염리아현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진구(0.13%)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종로구(0.09%)는 창신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15%)

송파구(0.28%)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21%)는 개포압구정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양천구(0.20%)는 목신정동 위주로,

영등포구(0.16%)는 신길여의도동 위주로,

초구(0.16%)는 잠원반포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07% -0.03%]

미추홀구(0.04%)는 용현·주안동 주요단지 위주로,

부평구(0.03%) 부개·청천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구(-0.13%) 송도·옥련동 위주로,

서구(-0.05%)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청라·불로동 위주로,

계양구(-0.02%)는 작전·효성동 구축 위주로 하락

 

 

[경기 : 0.00% 0.00%]

안성시(-0.19%)는 당왕동·공도읍 위주로,

김포시(-0.18%)는 장기·운양동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17%)는 중산·풍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39%)는 별양·원문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27%)는 창곡·신흥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24%) 백현·서현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12%)는 성복·동천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5%]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07%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6% -0.06%]

 

(대구 : -0.13% -0.09%)

북구(-0.14%)는 침산·산격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3%)는 범물·지산동 위주로,

서구(-0.12%)는 평리·내당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

 

(대전 : -0.05% -0.07%)

중구(-0.11%)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중촌·선화동 위주로,

유성구(-0.08%)는 원내·지족동 위주로,

동구(-0.07%)는 대성·가양동 구축 위주로 하락

 

 

[세종 : -0.02% -0.07%]

매물 적체 지속되며 고운·새롬·소담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

 

 

[8개도 : -0.03% -0.03%]

 

(경북 : -0.02% -0.07%)

구미시(-0.23%)는 옥계·도량동 위주로,

포항 북구(-0.16%)는 양덕·장성동 구축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24(전기) 3.31(당기) 비 고
1 충북 -0.04 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
2 전북 0.02 0.00 상승에서 보합 전환
3 강원 -0.04 -0.01 하락폭 축소
4 전남 -0.02 -0.01 하락폭 축소
5 충남 -0.04 -0.03 하락폭 축소
6 경남 -0.05 -0.05 하락폭 유지
7 제주 -0.06 -0.06 하락폭 유지
8 경북 -0.02 -0.07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2%) 상승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4%0.04%)상승폭 유지,

서울(0.06%0.05%) 상승폭 축소,

지방(-0.01%0.00%)보합 전환됐습니다.

 

(5대광역시(0.00%0.00%), 세종(0.03%0.03%), 8개도(-0.01%0.00%))

 

 

시도별로는

울산(0.09%), 경기(0.03%), 강원(0.02%), 부산(0.01%) 등은 상승,

경남(0.00%), 경북(0.00%), 충남(0.00%), 충북(0.00%)보합,

대전(-0.07%), 제주(-0.05%), 대구(-0.02%), 광주(-0.01%)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9100)은 증가,

보합 지역(1310)은 감소, 하락 지역(6668)은 증가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4%]

서울 0.05% 상승, 인천 0.01% 상승, 경기 0.03% 상승

 

 

[서울 : 0.06% 0.05%]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임차수요 지속되고

매물부족 현상 나타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2%)

성북구(-0.04%)는 길음·정릉동 위주로,

강북구(-0.02%)는 미아·번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06%) 이촌·문배동 위주로,

마포구(0.06%)는 도화·대흥동 주요단지 위주로,

도봉구(0.04%)는 방학·창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7%)

서초구(-0.01%)는 서초·방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16%)는 암사·천호동 준신축 위주로,

송파구(0.15%) 잠실·신천동 위주로,

영등포구(0.10%)는 당산·문래동 역세권 위주로,

동작구(0.10%) 사당·상도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0% 0.01%]

서구(-0.09%)는 청라동 신도시 위주로,

연수구(-0.06%)는 연수·송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미추홀구(0.13%)는 주안·도화동 대단지 위주로,

남동구(0.08%)는 만수·간석동 위주로,

동구(0.05%)는 송림동 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전체 보합에서 상승 전환

 

 

[경기 : 0.04% 0.03%]

광명시(-0.20%)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철산동 위주로,

이천시(-0.11%) 부발읍·대월면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27%) 재건축 이주 수요있는 별양·원문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22%) 비산·평촌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20%) 정자·야탑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0%]

5대광역시 0.00% 보합, 세종 0.03% 상승, 8개도 0.00% 보합

 

 

[5대광역시 : 0.00% 0.00%]

 

(대전 : -0.06% -0.07%)

서구(-0.10%)는 둔산·월평·내동 위주로,

중구(-0.10%)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중촌동 및 오류동 구축 위주로,

동구(-0.10%)는 판암·용운동 구축 위주로 하락

 

 (울산 : 0.07% 0.09%)

동구(0.14%)는 서부·동부동 주요단지위주로,

남구(0.11%)는 신정··옥동 위주로,

중구(0.09%)는 정주여건 양호한 유곡·반구동 위주로,

북구(0.08%)는 산하·매곡동 위주로 상승

 

 

[세종 : 0.03% 0.03%]

 다정·고운·대평동 및 조치원읍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 유지

 

 

[8개도 : -0.01% 0.00%]

 

 (강원 : -0.02% 0.02%)

춘천시(0.07%)는 교통여건 양호한 후평·석사동 위주로,

삼척시(0.05%)는 정상·원당동 위주로 상승

 

(전주 대비 %)

구 분 3.24(전기) 3.31(당기) 비 고
1 강원 -0.02 0.02 하락에서 상승 전환
2 전북 0.01 0.01 상승폭 유지
3 전남 0.02 0.01 상승폭 축소
4 충북 -0.01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5 충남 -0.01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6 경북 -0.03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7 경남 -0.01 0.00 하락에서 보합 전환
8 제주 -0.06 -0.05 하락폭 축소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24 3.3 3.10 3.17 3.24 3.31
전 국 -0.62 -0.26 -0.02 -0.01 0.00 0.02 -0.01 -0.01
수도권 -0.61 0.07 0.01 0.02 0.05 0.07 0.03 0.03
지 방 -0.62 -0.58 -0.05 -0.04 -0.05 -0.04 -0.04 -0.05
서 울 -0.35 1.02 0.11 0.14 0.20 0.25 0.11 0.11
경 기 -0.82 -0.29 -0.04 -0.04 0.00 0.00 0.00 0.00
인 천 -0.37 -0.67 -0.03 -0.03 -0.05 -0.06 -0.07 -0.03
부 산 -1.01 -0.70 -0.06 -0.05 -0.08 -0.04 -0.04 -0.06
대 구 -1.43 -1.48 -0.11 -0.10 -0.10 -0.09 -0.13 -0.09
광 주 -0.36 -0.60 -0.06 -0.04 -0.05 -0.06 -0.06 -0.07
대 전 -0.22 -0.61 -0.05 -0.04 -0.05 -0.06 -0.05 -0.07
울 산 -0.22 0.08 0.00 0.02 0.00 0.02 0.01 0.00
세 종 -2.61 -1.04 -0.08 -0.09 -0.14 -0.09 -0.02 -0.07
강 원 0.20 -0.31 0.01 0.01 -0.04 0.00 -0.04 -0.01
충 북 -0.24 -0.15 -0.01 -0.02 -0.01 0.01 -0.04 0.01
충 남 -0.80 -0.50 -0.01 -0.04 -0.07 -0.04 -0.04 -0.03
전 북 -0.29 0.02 0.04 0.01 0.03 0.03 0.02 0.00
전 남 -0.31 -0.45 -0.04 -0.04 -0.04 -0.03 -0.02 -0.01
경 북 -0.22 -0.64 -0.10 -0.05 -0.05 -0.06 -0.02 -0.07
경 남 -0.54 -0.51 -0.04 -0.04 -0.03 -0.03 -0.05 -0.05
제 주 -0.67 -0.62 -0.03 -0.07 -0.06 -0.05 -0.06 -0.06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24 3.3 3.10 3.17 3.24 3.31
전 국 0.23 0.03 0.00 0.01 0.01 0.01 0.02 0.02
수도권 0.76 0.15 0.01 0.02 0.03 0.04 0.04 0.04
지 방 -0.28 -0.09 0.00 0.00 -0.01 -0.02 -0.01 0.00
서 울 0.87 0.32 0.03 0.03 0.05 0.07 0.06 0.05
경 기 0.63 0.16 0.01 0.02 0.02 0.03 0.04 0.03
인 천 1.07 -0.27 -0.04 0.00 0.01 0.00 0.00 0.01
부 산 -0.45 0.33 0.05 0.02 0.03 0.02 0.03 0.01
대 구 -1.26 -0.83 -0.03 -0.05 -0.07 -0.09 -0.06 -0.02
광 주 -0.17 0.22 0.03 0.03 0.00 0.01 0.00 -0.01
대 전 0.76 -0.62 -0.04 -0.04 -0.05 -0.10 -0.06 -0.07
울 산 0.35 0.72 0.07 0.07 0.07 0.06 0.07 0.09
세 종 -2.60 -0.28 -0.01 0.02 -0.09 -0.07 0.03 0.03
강 원 0.18 -0.03 -0.02 0.00 0.07 0.04 -0.02 0.02
충 북 0.35 0.25 0.03 0.01 0.07 0.03 -0.01 0.00
충 남 -0.42 -0.29 -0.02 -0.02 -0.05 -0.04 -0.01 0.00
전 북 0.59 -0.18 -0.04 -0.03 -0.02 0.00 0.01 0.01
전 남 -0.06 -0.08 -0.03 -0.03 -0.03 0.02 0.02 0.01
경 북 -0.63 -0.20 -0.01 -0.01 -0.02 -0.04 -0.03 0.00
경 남 -0.33 -0.03 -0.01 0.00 0.00 -0.01 -0.01 0.00
제 주 -0.27 -0.54 -0.03 -0.05 -0.07 -0.05 -0.06 -0.05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3월 5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매매가격은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의 토허제가 시행되었지만, 폭등은 막아도 집값 상승을 막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전세 가격은 매물 부족으로 인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들 산 가격보다 싸게 팔 수 없으니 매물이 없는거겠죠...? 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