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년 2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2월 4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2%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0.01%→0.01%)은 상승 전환,
서울(0.06%→0.11%)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5%)은 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6%→-0.06%), 세종(-0.12%→-0.08%), 8개도(-0.03%→-0.03%))
시도별로는
전북(0.04%), 강원(0.01%) 등은 상승,
울산(0.00%)은 보합,
대구(-0.11%), 경북(-0.10%), 광주(-0.06%), 부산(-0.06%),
대전(-0.05%), 경남(-0.04%), 전남(-0.04%)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5→53개)은 증가,
보합 지역(10→9개) 및 하락 지역(123→116개)은 감소
[수도권 : 0.01%]
서울 0.11% 상승, 인천 0.03% 하락, 경기 0.04% 하락
[서울 : 0.06% → 0.11%]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물적체 영향 등으로 관망세 보이고 있으나,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수문의 꾸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2%)
노원구(-0.03%)는 상계·월계동 위주로,
강북구(-0.02%)는 번·수유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동구(0.10%)는 행당·금호동 위주로,
광진구(0.09%)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마포구(0.09%)는 아현·신공덕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18%)
송파구(0.5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0.38%)는 압구정·대치·청담동 위주로,
서초구(0.25%)는 잠원·서초동 위주로,
강동구(0.09%)는 고덕·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06%)는 여의도·신길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6% → -0.03%]
계양구(-0.11%)는 미분양 증가 지역인 효성·작전동 위주로,
연수구(-0.08%)는 동춘·옥련동 구축 위주로,
동구(-0.02%)는 송림동 위주로,
중구(-0.02%)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중산·운남동 위주로,
서구(-0.01%)는 청라·마전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4% → -0.04%]
과천시(0.23%)는 재건축사업 영향있는 별양·부림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07%)는 교통환경 우수한 풍덕천·죽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광명시(-0.21%)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김포시(-0.20%)는 장기·구래동 구축 위주로,
고양 덕양구(-0.18%)는 행신·화정동 위주로 하락
[지방 : -0.05%]
5대광역시 0.06% 하락, 세종 0.08%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6% → -0.06%]
(대구 : -0.09% → -0.11%)
북구(-0.24%)는 태전·침산동 구축 위주로,
남구(-0.18%)는 이천·대명동 위주로,
서구(-0.15%)는 내당·중리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
(광주 : -0.05% → -0.06%)
남구(-0.10%)는 봉선·백운동 구축 위주로,
서구(-0.08%)는 치평·금호동 대단지 위주로,
북구(-0.06%)는 양산·두암동 위주로,
광산구(-0.03%)는 신창·쌍암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12% → -0.08%]
도담·종촌동 구축 위주로 매물 적체되는 등 하락
[8개도 : -0.03% → -0.03%]
(경북 : -0.03% → -0.10%)
구미시(-0.27%)는 옥계동·산동읍 대단지 위주로,
경산시(-0.18%)는 하양·진량읍 구축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 2.17(전기) | 2.24(당기) | 비 고 | |||
1 | 전북 | 0.01 | 0.04 | 상승폭 확대 | ||
2 | 강원 | -0.02 | 0.01 | 하락에서 상승 전환 | ||
3 | 충북 | -0.02 | -0.01 | 하락폭 축소 | ||
4 | 충남 | -0.05 | -0.01 | 하락폭 축소 | ||
5 | 제주 | -0.05 | -0.03 | 하락폭 축소 | ||
6 | 전남 | -0.08 | -0.04 | 하락폭 축소 | ||
7 | 경남 | -0.03 | -0.04 | 하락폭 확대 | ||
8 | 경북 | -0.03 | -0.10 | 하락폭 확대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0%) 대비 보합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1%→0.01%)은 상승폭 유지,
서울(0.02%→0.03%)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됐습니다.
(5대광역시(0.00%→0.02%), 세종(-0.03%→-0.01%), 8개도(-0.02%→-0.01%))
시도별로는
울산(0.07%), 부산(0.05%), 광주(0.03%), 충북(0.03%), 경기(0.01%) 등은 상승,
전북(-0.04%), 대전(-0.04%), 인천(-0.04%), 제주(-0.03%),
전남(-0.03%), 대구(-0.03%)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1→94개)은 증가,
보합 지역(9→9개)은 유지, 하락 지역(78→75개)은 감소
[수도권 : 0.01%]
서울 0.03% 상승, 인천 0.04% 하락, 경기 0.01% 상승
[서울 : 0.02% → 0.03%]
일부 입주영향 있는 지역 및 외곽지역에서 전세가격 하락하였으나,
선호도 높은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지속되며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1%)
동대문구(-0.09%)는 장안·전농동 위주로,
종로구(-0.02%)는 창신·숭인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도봉구(0.05%)는 도봉·쌍문동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0.05%)는 도화·성산동 위주로,
용산구(0.04%)는 이촌·한남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4%)
관악구(-0.02%)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봉천동 위주로,
구로구(-0.01%)는 구로·고척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2%)는 신천·가락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05%)는 목·신월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05%)는 대림·신길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4% → -0.04%]
연수구(0.03%)는 연수·옥련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13%)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청라·원당·가정동 위주로,
중구(-0.08%)는 중산·운남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06%)는 서창·논현·구월동 위주로,
계양구(-0.03%)는 계산·용종·오류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1% → 0.01%]
광명시(-0.30%)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광명·철산·하안동 위주로,
평택시(-0.11%)는 용이·죽백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화성시(0.12%)는 봉담·남양읍 택지개발지구 위주로,
과천시(0.10%)는 중앙동 위주로,
용인시 처인구(0.09%)는 고림동·포곡읍 위주로 상승
[지방 : 0.00%]
5대광역시 0.02% 상승, 세종 0.01% 하락, 8개도 0.01% 하락
[5대광역시 : 0.00% → 0.02%]
(울산 : 0.05% → 0.07%)
북구(0.09%)는 공급물량 부족한 매곡·중산·천곡동 위주로,
중구(0.07%)는 정주여건 양호한 태화·유곡동 신축 위주로,
남구(0.07%)는 신정·삼산·무거동 구축 위주로 상승
(부산 : 0.03% → 0.05%)
연제구(0.13%)는 연산·거제동 위주로,
수영구(0.12%)는 민락·망미동 준신축 위주로,
남구(0.11%)는 대연·용호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세종 : -0.03% → -0.01%]
지역별 혼조세 보이며 고운·다정·보람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 -0.01%]
(전북 : -0.01% → -0.04%)
익산시(-0.21%)는 영등·어양·부송동 위주로,
군산시(-0.04%)는 조촌·지곡동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 2.17(전기) | 2.24(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3 | 0.03 | 상승폭 유지 | ||
2 | 경북 | -0.04 | -0.01 | 하락폭 축소 | ||
3 | 경남 | -0.02 | -0.01 | 하락폭 축소 | ||
4 | 강원 | -0.01 | -0.02 | 하락폭 확대 | ||
5 | 충남 | -0.05 | -0.02 | 하락폭 축소 | ||
6 | 전남 | -0.02 | -0.03 | 하락폭 확대 | ||
7 | 제주 | -0.05 | -0.03 | 하락폭 축소 | ||
8 | 전북 | -0.01 | -0.04 | 하락폭 확대 |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5년 | ||||||
‘24년 | ‘25년 | 1.13 | 1.20 | 2.3 | 2.10 | 2.17 | 2.24 | |
전 국 | -0.40 | -0.25 | -0.04 | -0.05 | -0.04 | -0.04 | -0.03 | -0.02 |
수도권 | -0.43 | -0.13 | -0.03 | -0.03 | -0.02 | -0.03 | -0.01 | 0.01 |
지 방 | -0.36 | -0.36 | -0.05 | -0.07 | -0.06 | -0.05 | -0.04 | -0.05 |
서 울 | -0.30 | 0.21 | 0.00 | 0.00 | 0.02 | 0.02 | 0.06 | 0.11 |
경 기 | -0.54 | -0.25 | -0.04 | -0.04 | -0.03 | -0.05 | -0.04 | -0.04 |
인 천 | -0.27 | -0.44 | -0.06 | -0.06 | -0.08 | -0.08 | -0.06 | -0.03 |
부 산 | -0.63 | -0.43 | -0.05 | -0.07 | -0.06 | -0.06 | -0.06 | -0.06 |
대 구 | -0.83 | -0.98 | -0.15 | -0.16 | -0.21 | -0.12 | -0.09 | -0.11 |
광 주 | -0.24 | -0.31 | -0.03 | -0.05 | -0.03 | -0.03 | -0.05 | -0.06 |
대 전 | -0.06 | -0.35 | -0.02 | -0.08 | -0.07 | -0.06 | -0.05 | -0.05 |
울 산 | -0.11 | 0.03 | -0.01 | 0.00 | 0.03 | 0.00 | 0.00 | 0.00 |
세 종 | -1.35 | -0.64 | -0.06 | -0.09 | -0.07 | -0.12 | -0.12 | -0.08 |
강 원 | 0.12 | -0.24 | -0.07 | -0.06 | -0.02 | -0.08 | -0.02 | 0.01 |
충 북 | -0.12 | -0.10 | 0.00 | -0.07 | 0.01 | 0.02 | -0.02 | -0.01 |
충 남 | -0.45 | -0.27 | -0.05 | -0.06 | -0.03 | -0.04 | -0.05 | -0.01 |
전 북 | -0.19 | -0.07 | -0.05 | -0.03 | 0.02 | -0.01 | 0.01 | 0.04 |
전 남 | -0.18 | -0.31 | -0.04 | -0.04 | -0.01 | -0.04 | -0.08 | -0.04 |
경 북 | -0.17 | -0.40 | -0.03 | -0.06 | -0.11 | -0.06 | -0.03 | -0.10 |
경 남 | -0.33 | -0.30 | -0.05 | -0.04 | -0.05 | -0.04 | -0.03 | -0.04 |
제 주 | -0.44 | -0.33 | -0.04 | -0.03 | -0.06 | -0.05 | -0.05 | -0.03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 누계* | ’25년 | ||||||
‘24년 | ‘25년 | 1.13 | 1.20 | 2.3 | 2.10 | 2.17 | 2.24 | |
전 국 | 0.13 | -0.03 | -0.01 | -0.01 | 0.00 | -0.01 | 0.00 | 0.00 |
수도권 | 0.41 | -0.01 | -0.01 | -0.01 | 0.00 | 0.00 | 0.01 | 0.01 |
지 방 | -0.15 | -0.06 | -0.01 | -0.01 | 0.00 | -0.01 | -0.01 | 0.00 |
서 울 | 0.52 | 0.06 | 0.00 | 0.00 | 0.01 | 0.02 | 0.02 | 0.03 |
경 기 | 0.37 | 0.02 | -0.01 | 0.00 | 0.00 | 0.00 | 0.01 | 0.01 |
인 천 | 0.35 | -0.29 | -0.03 | -0.05 | -0.02 | -0.07 | -0.04 | -0.04 |
부 산 | -0.39 | 0.20 | 0.02 | 0.03 | 0.02 | 0.02 | 0.03 | 0.05 |
대 구 | -0.65 | -0.54 | -0.11 | -0.07 | -0.08 | -0.09 | -0.08 | -0.03 |
광 주 | -0.12 | 0.20 | 0.02 | 0.03 | 0.03 | 0.02 | 0.03 | 0.03 |
대 전 | 0.59 | -0.29 | -0.02 | -0.06 | -0.06 | -0.05 | -0.05 | -0.04 |
울 산 | 0.20 | 0.35 | 0.04 | 0.04 | 0.08 | 0.04 | 0.05 | 0.07 |
세 종 | -1.31 | -0.21 | 0.00 | -0.02 | -0.08 | -0.02 | -0.03 | -0.01 |
강 원 | 0.11 | -0.13 | -0.08 | -0.06 | -0.03 | 0.01 | -0.01 | -0.02 |
충 북 | 0.27 | 0.16 | 0.02 | 0.01 | 0.03 | 0.01 | 0.03 | 0.03 |
충 남 | -0.25 | -0.18 | 0.00 | -0.05 | -0.02 | -0.01 | -0.05 | -0.02 |
전 북 | 0.37 | -0.15 | -0.06 | -0.02 | -0.01 | -0.02 | -0.01 | -0.04 |
전 남 | -0.06 | -0.07 | -0.01 | 0.00 | 0.01 | -0.01 | -0.02 | -0.03 |
경 북 | -0.34 | -0.10 | -0.02 | 0.00 | 0.01 | -0.01 | -0.04 | -0.01 |
경 남 | -0.13 | -0.01 | 0.01 | 0.00 | 0.01 | -0.01 | -0.02 | -0.01 |
제 주 | -0.19 | -0.26 | -0.02 | -0.05 | -0.03 | -0.05 | -0.05 | -0.03 |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년 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2월 4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최근 금리 인하로 인해 서울 부동산은 벌써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만,
지방 부동산은 아직 하락하고 있는 곳이 많이 보입니다.
당분간은 경제 상황 및 금리 인하를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부동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제안형 공공지원 민간임대 공모 일정 및 위치 (258) | 2025.03.06 |
---|---|
주택도시기금 대출금리 추가 인하(Ft. 청년 주택드림 대출) (229) | 2025.03.05 |
2025 재개발 & 재건축 개정 사항 총 정리(절차 간소화) (230) | 2025.02.27 |
법인세 신고 기간 및 납부 방법(필요 서류) (256) | 2025.02.25 |
올해부터 주식투자 시 사전에 배당금 확인 후 투자 가능! (223)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