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 뉴스

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육아시간, 초과근무 병행 가능)

by Edward_S 2024. 10.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육아시간 사용한 날에도 초과근무 수당 인정

에 대한 내용인데요.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 시행 및 입법예고

 

앞으로 공무원육아시간사용한 날에도 초과근무가 인정됩니.

 

하루 단위사용할 수 있었던 원격근무를 같은 날

재택사무실 근무로 병행할 수 있게 되고, 육아시간, 지각조퇴

신청 시 사유 기재생략할 수 있게 됩니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개정안을 내달 중 시행하고,

국가공무원 복무규칙개정안입법예고 한다고 23일 밝혔습니다.

 

복무제도 유연화추진하기 위한 복무징계 관련 예규 및

복무규칙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육아시간 사용한 날에도 초과근무가 인정

현재공무원이 육아를 위해 근무시간 일부를 육아시간으로 사용하면,

불가피하게 초과근무를 했더라도 근무시간 전

시간외근무 명령, 즉 초과시간이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공무원의 시간 외

근무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제공합니다.

 

당초 육아를 병행하는 공무원에게는 시간외근무 명령을 금지

자녀 돌봄 전념토록 하는 취지였으나, 오전에 육아시간을 사용하고

근무시간 후 초과근무를 하는 경우실제 근무를 하고도 수당을 받지 못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인데요.

 

 

둘째, 사무실 근무와 재택, 원격근무같은 날에 병행 가능

현행 재택근무, 원격근무공간(스마트워크센터) 근무 등

원격근무는 하루 단위로만 사용할 수 있으나, 시간 단위로도 사용 수 있도록 해

하루 중 재택근무 사무실 근무병행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는 재택근무 중 긴급한 사유사무실에 출근할 경우

출장처리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나,

앞으로는 시간 단위 원격근무를 통해 근무 장소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본인 결혼 경조사 휴가를 현행대로 30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업무상 불가피한 사유로 해당 기간 내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90일 이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화한다.

 

육아시간, 지각조퇴외출 신청 사유 기재생략하도록 하는 등

자율적인 복무제도 활용 여건도 조성됩니.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칙개정안은

개정 절차를 거쳐 오는 12월 중 시행될 예정입니다.

 

연가를 제외한 지각조퇴 등 다른 복무상황을 신청할 때는

반드시 사유기재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신청 사유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지각조퇴외출도 공무원 개인에게 연간 부여된 연가

시간 단위로 나눠 사용하는 것이므로,

연가와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왔습니다.

 

특히, 특별휴가인 육아시간의 경우,

육아기(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 공무원이

자녀를 돌보기 위한 목적이 분명하므로 별도의 사유

기재하도록 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점도 고려됐습니다.

 

인사처장이번 개정은 유연한 조직문화 구축의 첫걸음이라며

공무원이 업무에 전념 일 잘하는 공직사회를 구현하도록

제반 근무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상으로 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위와 같은 복무규칙 개정으로 인해 공무원들의 업무 처리가 원활해져

 

 

민원 처리도 늦어지지 않고 빨리 해주면 좋겠습니다~!

 

 

 

아! 그리고 티스토리에서 오블완 챌린지를 시작한다고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ㅎㅎ

 

https://www.tistory.com/event/write-challenge-2024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

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

www.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