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경제

2025년 3월 2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매매 & 전세)

by Edward_S 2025. 3. 14.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5 3 2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202532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습니다.

 

수도권(0.02%0.05%) 및 서울(0.14%0.20%) 상승폭 확대,

지방(-0.04%-0.05%)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5%-0.07%), 세종(-0.09%-0.14%), 8개도(-0.03%-0.03%))

 

 

시도별로는

전북(0.03%) 등은 상승,

경기(0.00%), 울산(0.00%)보합,

대구(-0.10%), 부산(-0.08%), 충남(-0.07%), 제주(-0.06%),

경북(-0.05%), 대전(-0.05%), 광주(-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5461)은 증가,

보합 지역(1411) 하락 지역(110106)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5%]

서울 0.20% 상승, 인천 0.05% 하락, 경기 0.00% 보합

 

 

 [서울 : 0.14% 0.20%]

비역세권, 구축 등 비선호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추이가 지속되고 있으나,

재건축 등 선호단지 위주로 수요가 집중되고 상승계약이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7%)

성동구(0.29%)는 옥수행당동 위주로,

용산(0.23%)는 한강로이촌동 위주로,

포구(0.21%)는 아현염리동 준신축 위주로,

광진구(0.12%) 광장구의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07%)는 북아현동남가좌동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31%)

송파구(0.72%)는 신천잠실동 위주로,

강남구(0.69%)는 압구정역삼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초구(0.62%) 반포잠원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8%)는 여의도영등포동 위주로,

강동구(0.15%)는 강일고덕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3% -0.05%]

연수(-0.12%)는 송도·연수동 위주로,

계양구(-0.08%)는 효성·병방동 구축 위주로,

미추홀구(-0.06%)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용현·학익동 위주로,

동구(-0.06%)는 송림·만석동 위주로,

서구(-0.03%) 청라·당하·불로동 위주로 하락

 

 

[경기 : -0.04% 0.00%]

고양 일산동구(-0.16%) 중산·식사동 구축 위주로,

김포시(-0.15%) 장기·운양동 위주로,

광명시(-0.14%)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철산·광명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71%)는 재건축사업 지역인 별양·부림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17%)는 교통접근성 우수한 풍덕천·죽전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 보합 전환

 

 

[지방 : -0.05%]

5대광역시 0.07% 하락, 세종 0.14%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5% -0.07%]

 

(대구 : -0.10% -0.10%)

북구(-0.16%)는 태전·침산동 위주로,

동구(-0.15%)는 방촌·신천동 위주로,

남구(-0.12%)는 대명·봉덕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1%)는 범어·만촌동 위주로 하락

 

(부산 : -0.05% -0.08%)

사상구(-0.18%)는 엄궁·덕포동 구축 위주로,

부산진구(-0.13%)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연지·양정동 위주로,

강서구(-0.11%)는 명지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세종 : -0.09% -0.14%]

신규 공급 및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도담·종촌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3% -0.03%]

 

(충남 : -0.04% -0.07%)

천안 서북구(-0.19%)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있는 두정·백석동 위주로,

홍성군(-0.10%)은 홍북읍 위주로 하락

 

(전주 대비 %)

구 분 3.3(전기) 3.10(당기) 비 고
1 전북 0.01 0.03 상승폭 확대
2 충북 -0.02 -0.01 하락폭 축소
3 경남 -0.04 -0.03 하락폭 축소
4 강원 0.01 -0.04 상승에서 하락 전환
5 전남 -0.04 -0.04 하락폭 유지
6 경북 -0.05 -0.05 하락폭 유지
7 제주 -0.07 -0.06 하락폭 축소
8 충남 -0.04 -0.07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상승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2%0.03%) 및 서울(0.03%0.05%)상승폭 확대,

지방(0.00%-0.01%)하락 전환됐습니다.

 

(5대광역시(0.00%0.00%), 세종(0.02%-0.09%), 8개도(-0.01%0.00%))

 

 

시도별로는

울산(0.07%), 강원(0.07%), 충북(0.07%), 부산(0.03%), 등은 상승,

광주(0.00%), 경남(0.00%)보합,

제주(-0.07%), 대구(-0.07%), 충남(-0.05%), 대전(-0.05%) 등은 하락했습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796)은 감소,

보합 지역(1113)은 증가, 하락 지역(7069)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출처 : 한국부동산원

 

 

[수도권 : 0.03%]

서울 0.05% 상승, 인천 0.01% 상승, 경기 0.02% 상승

 

 

[서울 : 0.03% 0.05%]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역세권 및 학군지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에서는

임차문의 꾸준하고 상승 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지속

 

(강북 14개구 : 0.03%)

동대문구(-0.06%)는 장안·전농동 위주로,

성북구(-0.02%)는 장위·정릉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동구(0.07%) 하왕십리·응봉동 위주로,

도봉구(0.06%)는 창·쌍문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노원구(0.06%)는 상계·하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7%)

관악구(-0.01%)는 봉천·신림동 위주로,

구로구(-0.01%)는 신도림·고척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3%) 신천·잠실동 주요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1%)는 당산·신길동 위주로,

강동구(0.11%)는 고덕·명일동 학군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00% 0.01%]

서구(-0.05%)는 청라·가정동 신도시 위주로,

중구(-0.05%)는 운남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미추홀구(0.07%)는 주안·학익동 위주로,

연수구(0.07%)는 연수·동춘동 위주로,

동구(0.04%)는 정주여건 양호한 송림동 위주로 상승하면서

인천 전체 상승 전환

 

 

[경기 : 0.02% 0.02%]

성남 중원구(-0.31%)는 은행·상대원동 위주로,

광명시(-0.24%) 입주물량 영향있는 하안·광명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하남시(0.16%)감이·학암·창우동 역세권 위주로,

과천시(0.15%)는 중앙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14%)는 평촌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1%]

5대광역시 0.00% 보합, 세종 0.09% 하락, 8개도 0.00% 보합

 

 

[5대광역시 : 0.00% 0.00%]

 

(대구 : -0.05% -0.07%)

남구(-0.37%) 대명·봉덕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8%)는 범어·신매·범물동 위주로,

북구(-0.07%) 단지별 혼조세 보이며 태전·구암·침산동 위주로 하락

 

(대전 : -0.04% -0.05%)

중구(-0.13%)는 태평··유천동 준신축 위주로,

동구(-0.09%)는 판암·용운동 구축 위주로,

대덕구(-0.04%)는 급매물 소화되며 송촌·법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02% -0.09%]

수요 감소 영향으로 종촌·새롬·나성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 전환

 

 

[8개도 : -0.01% 0.00%]

 

(강원 : 0.00% 0.07%)

원주시(0.13%)는 태장·반곡동 주요단지 위주로,

춘천시(0.12%)는 정주여건 양호한 퇴계·석사·후평동 위주로 상승

 

(전주 대비 %)

구 분 3.3(전기) 3.10(당기) 비 고
1 강원 0.00 0.07 보합에서 상승 전환
2 충북 0.01 0.07 상승폭 확대
3 경남 0.00 0.00 보합 유지
4 전북 -0.03 -0.02 하락폭 축소
5 경북 -0.01 -0.02 하락폭 확대
6 전남 -0.03 -0.03 하락폭 유지
7 충남 -0.02 -0.05 하락폭 확대
8 제주 -0.05 -0.07 하락폭 확대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3 2.10 2.17 2.24 3.3 3.10
전 국 -0.49 -0.26 -0.04 -0.04 -0.03 -0.02 -0.01 0.00
수도권 -0.51 -0.06 -0.02 -0.03 -0.01 0.01 0.02 0.05
지 방 -0.47 -0.45 -0.06 -0.05 -0.04 -0.05 -0.04 -0.05
서 울 -0.34 0.55 0.02 0.02 0.06 0.11 0.14 0.20
경 기 -0.65 -0.29 -0.03 -0.05 -0.04 -0.04 -0.04 0.00
인 천 -0.33 -0.52 -0.08 -0.08 -0.06 -0.03 -0.03 -0.05
부 산 -0.81 -0.56 -0.06 -0.06 -0.06 -0.06 -0.05 -0.08
대 구 -1.11 -1.18 -0.21 -0.12 -0.09 -0.11 -0.10 -0.10
광 주 -0.32 -0.40 -0.03 -0.03 -0.05 -0.06 -0.04 -0.05
대 전 -0.13 -0.44 -0.07 -0.06 -0.05 -0.05 -0.04 -0.05
울 산 -0.16 0.05 0.03 0.00 0.00 0.00 0.02 0.00
세 종 -1.70 -0.87 -0.07 -0.12 -0.12 -0.08 -0.09 -0.14
강 원 0.22 -0.26 -0.02 -0.08 -0.02 0.01 0.01 -0.04
충 북 -0.19 -0.13 0.01 0.02 -0.02 -0.01 -0.02 -0.01
충 남 -0.60 -0.38 -0.03 -0.04 -0.05 -0.01 -0.04 -0.07
전 북 -0.22 -0.02 0.02 -0.01 0.01 0.04 0.01 0.03
전 남 -0.23 -0.39 -0.01 -0.04 -0.08 -0.04 -0.04 -0.04
경 북 -0.23 -0.49 -0.11 -0.06 -0.03 -0.10 -0.05 -0.05
경 남 -0.41 -0.38 -0.05 -0.04 -0.03 -0.04 -0.04 -0.03
제 주 -0.54 -0.45 -0.06 -0.05 -0.05 -0.03 -0.07 -0.06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5
‘24 ‘25 2.3 2.10 2.17 2.24 3.3 3.10
전 국 0.17 -0.01 0.00 -0.01 0.00 0.00 0.01 0.01
수도권 0.55 0.04 0.00 0.00 0.01 0.01 0.02 0.03
지 방 -0.19 -0.07 0.00 -0.01 -0.01 0.00 0.00 -0.01
서 울 0.65 0.14 0.01 0.02 0.02 0.03 0.03 0.05
경 기 0.49 0.06 0.00 0.00 0.01 0.01 0.02 0.02
인 천 0.59 -0.28 -0.02 -0.07 -0.04 -0.04 0.00 0.01
부 산 -0.43 0.26 0.02 0.02 0.03 0.05 0.02 0.03
대 구 -0.87 -0.66 -0.08 -0.09 -0.08 -0.03 -0.05 -0.07
광 주 -0.17 0.23 0.03 0.02 0.03 0.03 0.03 0.00
대 전 0.68 -0.38 -0.06 -0.05 -0.05 -0.04 -0.04 -0.05
울 산 0.26 0.49 0.08 0.04 0.05 0.07 0.07 0.07
세 종 -1.86 -0.28 -0.08 -0.02 -0.03 -0.01 0.02 -0.09
강 원 0.18 -0.06 -0.03 0.01 -0.01 -0.02 0.00 0.07
충 북 0.36 0.24 0.03 0.01 0.03 0.03 0.01 0.07
충 남 -0.27 -0.24 -0.02 -0.01 -0.05 -0.02 -0.02 -0.05
전 북 0.43 -0.20 -0.01 -0.02 -0.01 -0.04 -0.03 -0.02
전 남 -0.05 -0.13 0.01 -0.01 -0.02 -0.03 -0.03 -0.03
경 북 -0.47 -0.13 0.01 -0.01 -0.04 -0.01 -0.01 -0.02
경 남 -0.16 -0.01 0.01 -0.01 -0.02 -0.01 0.00 0.00
제 주 -0.21 -0.39 -0.03 -0.05 -0.05 -0.03 -0.05 -0.07

* '24년 및 '25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514주차의 경우, '24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5년 3월 2주차 부동산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서울을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는 매매 동향은 보합 및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번주와 마찬가지로 매매 물량 및 입주 물량 부족으로 인해 

 

 

전세 물량이 줄어들어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특정 지역 및 구역에서만 매매가격 상승 현상이 나타날 것 같습니다.

 

 

 

 

 

 

 

 

 

 

 

반응형